학술논문
미국 주식투자 총잔액이 서울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act of U.S stock investment balance on Seoul apartment prices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채상욱(Sang Wook CHAE) 최민섭(Min Seob CHOI)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3권 제2호 (통권 제68호), 61~7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investors' U.S. stock holdings and the apartment price trends in Seoul, South Korea,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period after 2017. Using monthly time-series data from 2017 to 2024, the analysis employs log-differenced apartment price indices and first-differenced U.S. stock balances to ensure stationarity. The study applies linear regression, Granger causality tests, VAR modeling, impulse response functions, and variance decomposition.The results show that increases in U.S. stock holding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 apartment price growth in both Seoul and its southeastern region, with time-lagged effects of 2 to 3 months. Specifically, a 1 billion USD increase in U.S. stock holdings leads to an average monthly increase of approximately 0.0841 percentage points in Seoul apartment price returns. Granger causality and VAR results confirm that U.S. stock investments precede and help explain short-term fluctuations in real estate prices. The variance decomposition further indicates that up to 99% of the three-month forecast error variance in apartment prices can be attributed to changes in U.S. stock holding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growing influence of non-household financial income—particularly stock investment returns—on housing market dynamics in Korea.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interplay between financial markets and real estate prices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suggesting that monetary policy and asset market trends must be considered in housing policy design. However, the study acknowledges limitations in variable scope, regional coverage, and structural modeling, pointing to the need for further multi-factor and behavior-based research.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차별성
Ⅲ. 분석모형
Ⅳ. 실증 분석
Ⅴ. 결론 및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동산PF 리스크 요소별 중요도 평가
- 지방도시의 지속가능성 실천을 위한 대학의 역할
- 청년 1인 가구의 임대주택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 비교를 중심으로
-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포용 도시 기반 주거 요인이 청년 사회 불평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오피스텔 단지내상가 임대료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정비계획의 용적률체계가 강남구 재건축 대상 아파트의 시장가격과 사업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광역시의 인구감소에 따른 유형화와 특성 분석
- AHP를 활용한 시니어 주거시설 개발 판단 중요도 분석 - 분양형 노인복지주택을 중심으로 -
- 탄광근로자의 거주환경만족도와 정책만족도 연구 - 대한석탄공사 태백 장성· 삼척 도계광업소를 중심으로
- 미국 주식투자 총잔액이 서울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