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주지역 선교지 형성과 여성 교육선교 - 여성교육선교와 여성독립운동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Missionary Expansion and Women’s Education in Gongju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Educational Missions and the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 발행기관
- 백석대학교 유관순연구소
- 저자명
- 조영호(Young Ho Cho)
- 간행물 정보
- 『유관순연구』제30권 제1호, 133~16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논문은 일제강점기 공주 지역에서 활동한 미국 감리교 선교사 사부인(사애리시)의 여성 교육 선교활동이 여성 독립운동, 특히 유관순을 비롯한 인물들의 민족의식과 주체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공주는 행정·지리적으로 충청남도의 중심지로, 기독교 선교사들에게 중요한 선교 거점이었다. 사부인은 여성 교육을 통해 여성들의 문해력 향상, 자아 인식, 사회 참여를 이끌었으며, 특히 영명학교를 중심으로 여성들이 민족의식과 독립운동 정신을 키워나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그녀의 교육활동은 단순한 종교 선교를 넘어서서 여성들의 자율성과 주체성을 고취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었고, 이는 3·1운동 당시 여성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배경이 되었다. 유관순 또한 이 교육의 영향을 받은 인물로, 기독교적 가치와 민족적 자각이 결합된 여성독립운동의 상징적 인물로 성장하였다. 논문은 이처럼 여성 선교 교육이 일제의 억압 속에서도 여성 주체 형성과 민족 독립운동에 기여한 중요한 요인이었음을 강조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influence of American Methodist missionary Mrs. Appenzeller (Sa Ae-ri-si) on women’s education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Gongju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ing particularly on the format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and identity among figures such as Yu Gwan-sun. Gongju, as a central administrative and geographical hub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was a significant mission base for Christian missionaries. Through her educational efforts, Mrs. Appenzeller promoted women’s literacy, self-awareness, and social participation. Centered around Yeongmyeong School, her work laid the foundation for women to develop national consciousness and a spirit of independence. Her educational mission went beyond religious teachings to foster autonomy and subjectivity among women, which contributed to their active involvement in the March 1st Movement. Yu Gwan-sun, influenced by this educational background, emerged as a symbolic figure of the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integrating Christian values with national awareness. This study underscores that missionary-led women’s education played a pivotal role in empowering women and contributing to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under Japanese oppression.
목차
Ⅰ. 시작하는 글
Ⅱ. 공주 구도심의 역사와 도시 형성 과정
Ⅲ. 공주 기독교 역사유적의 특성과 선교지로서의 의미
Ⅳ. 공주지역 교육선교와 여성 교육
Ⅴ. 여성 독립운동과 사부인의 교육선교
VI. 나가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