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경적 관점에 본 유관순 열사의 평화정신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Peace Spirit of Martyr Yu Gwan-sun from a Biblical Perspective
- 발행기관
- 백석대학교 유관순연구소
- 저자명
- 이웅규(Woong-Kyu Lee)
- 간행물 정보
- 『유관순연구』제30권 제1호, 99~13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관순 열사는 한국의 여성 독립운동가로서 그 의미가 더욱 크게 빛나고 있다. 특히, 유관순 열사는 단순히 독립운동을 넘어서 평화와 자유의 본질을 몸소 실천하며 목숨을 바친 상징적인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유관순 열사의 삶과 투쟁은 단순히 일제 강점기 한국의 독립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인간 존엄성과 진정한 평화의 가치를 위한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유관순 열사의 고귀한 평화정신을 성경 관점에서심층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특히, 본 연구는 성경에서 제시하는 평화의 개념을 중심으로 유관순 열사의 삶을 분석하고, 그의 희생과 신앙이 한국 사회에 주는 의미를 조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성경 관점의 평화정신을 고찰하고자 했고, 유관순 열사가 그렇게 갈망했던 비폭력 독립투쟁의 평화운동이 성공을 거두어 현재의 평화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심층적으로 고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관련 선행연구 등을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문헌 고찰을 시행했다.
그 결과, 유관순 열사의 평화정신과 성경적 평화정신은 첫째, 하나님 중심의 평화를 추구한다는 점이다. 둘째, 정의 없이는 평화가 없다는 둘 사이의 연결 관점이다. 셋째, 비폭력적 저항과 평화의 관점이다. 넷째, 고난 속에서도 지킨 내적 평화의 관점이다. 다섯째, 인간 존엄성과 자유를 위한 투쟁의 관점이다. 여섯째, 희생을 통한 평화의 실현 관점이다. 마지막으로 평화의 종말론적 비전 관점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 시사점으로 유관순 열사의 평화정신이 주는 교훈을 적용해보면 첫째, 정의와 평화의 관계를 재인식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고난 속에서도 희망과 평안은 존재한다는 점이다. 셋째, 희생의 의미와 공동체를 위한 헌신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넷째, 세계적 평화운동과의 연계성이다.
영문 초록
Yu Gwan-sun is a shining symbol of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particularly as a female independence activist. Her significance extends beyond the mere pursuit of national independence; she embodied the essence of peace and freedom, ultimately sacrificing her life for these ideals. Yu Gwan-sun’s life and struggle were not solely fo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but also for the universal values of human dignity and true peace. This study aims to deeply examine Yu Gwan-sun’s noble peace spirit from a biblical perspective. Specifically, it analyzes her life in the context of biblical peace and explores the meaning of her sacrifice and faith in Korean society.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biblical perspective on peace and delves into how Yu Gwan-sun’s commitment to nonviolent resistance led to the achievement of peace in modern Korea. To accomplish this, the study employs a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related previous research. The findings reveal that Yu Gwan-sun’s peace spirit aligns with biblical peace in the following aspects:
1. The pursuit of God-centered peace.
2.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and peace.
3. The principle of nonviolent resistance and the perspective of peace.
4. The preservation of inner peace amid suffering.
5. The struggle for human dignity and freedom.
6. The realization of peace through sacrifice.
7. The eschatological vision of pea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1. A renewed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and peace.
2. The realization that hope and peace exist even in times of suffering.
3. The necessity of sacrifice and dedication to the community.
4. The global connection between Yu Gwan-sun’s peace movement and international peace initiatives.
목차
Ⅰ. 서 론
Ⅱ. 성경 관점의 평화정신 고찰
Ⅲ. 유관순 열사 평화정신에 관한 성경 관점의 고찰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