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관순학’ 강좌를 통한 유관순 열사의 역사적 위치와 사상적 계승 - 수강 전후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Reassessing Yu Gwan-sun’s Historical Significance and Ideological Legacy through the “Yu Gwan-sun Studies” Course : A Comparative Analysis of Students’ Perceptions Before and After the Lecture
- 발행기관
- 백석대학교 유관순연구소
- 저자명
- 박종선(Jong Sun Park) 박창원(Chang Won Park)
- 간행물 정보
- 『유관순연구』제30권 제1호, 67~9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독립운동의 대표적인 인물이자 비폭력 저항의 상징인 유관순 열사의 삶과 사상을 중심으로, ‘유관순학’ 강좌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고 청년 세대의 역사 인식과 시민 의식 제고에 기여하는 바를 실증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유관순은 17세의 나이에 식민 권력에 맞서 비폭력 저항을 실천한 인물로서, 단순한 과거의 영웅을 넘어 현대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인문학적 콘텐츠로 재조명될 수 있는 인물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비폭력 저항’, ‘여성 인권’, ‘종교 윤리’, ‘청년리더십’이라는 네 가지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유관순의 생애를 재해석하고, 평화 및 인권 교육의 플랫폼으로서 ‘유관순학’ 강좌의 확장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연구는 백석문화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승인번호: 제2-7008132-A-N-01호. 25-01), 2025년 3월부터 6월까지 충남 천안시에 소재한 B대학교 재학생 68명을 대상으로 유관순학 수강 전후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강 이후 학생들의 역사에 대한 흥미와 학습 동기, 그리고 독립운동 관련 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유관순의 종교적 신념과 독립운동 간의 연계성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었으며, 해당 강좌의 교육적 필요성에 대한 공감도 역시 크게 증가하였다. 셋째, 유관순의 역사적 상징성에 대한 인식은 ‘희생’과 ‘애국’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강화되었고, 일제의 식민지 통치제도에 대한 이해 역시 확장되었다. 넷째, 3·1운동과 종교 간의 관계에 대한 인식이 다층적으로 제고되었으며, 유관순의 옥중 투쟁에 대한 이해도 긍정적으로 유지되었다. 다섯째, 3·1운동의 세계사적 파급효과와 여성 독립운동가의 역할에 대한 인식 역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 식민지 교육정책과 구국계몽운동에 대한 이해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승폭을 보였다.
종합적으로 볼 때, 유관순학 강좌는 청년 세대의 역사적 감수성과 시민적 책임 의식을 함양하는 데 효과적인 인물 중심 역사교육 모델로 기능하고 있으며, 나아가 평화교육의 현대적 플랫폼으로서 지속적인 확장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적 시도는 한국 독립운동의 세계사적 의미를 재조명하는 동시에, 지속 가능한 평화 공동체 형성을 위한 학술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ducational impact of the course “Yu Gwan-sun Studies,” which focuses on the life and philosophy of Yu Gwan-sun, a leading figure in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and a symbol of nonviolent resistance. Yu Gwan-sun, who practiced nonviolent protest against colonial rule at the age of 17, is reinterpreted not merely as a historical figure but as a valuable source of humanistic content applicable in contemporary education.
To this end, the study reinterprets her life through four core keywords-nonviolent resistance, women’s rights, religious ethics, and youth leadership-and explores the potential of the “Yu Gwan-sun Studies” course as a platform for peace and human rights educa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ethical guidelines of Baekseok Culture University’s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No. 2-7008132- A-N-01. 25-01). From March to June 2025, a pre- and post-course survey was administered to 68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the course at a university located in Cheonan, Chungnam Provinc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interest in history, motivation to learn, and knowledg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aking the course. Second, students demonstrated an increased understanding of Yu Gwan-sun’s religious convictions and their connection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along with a greater appreciation for the necessity of such educational programs. Third, perceptions of Yu Gwan-sun’s symbolic meaning were strengthened, particularly around themes of “sacrifice” and “patriotism,” and students’ understanding of colonial governance systems also expanded. Fourth, awareness of the role of religion in the March 1st Movement—particularly Christianity, Daejonggyo, and Buddhism-deepened, and perceptions of Yu’s imprisonment and suffering remained positive. Fifth, recognition of the global impact of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role of female independence activists improved significantly, although understanding of colonial educational policies and the Enlightenment movement showed a relatively modest increase.
Overall, the “Yu Gwan-sun Studies” course functions as an effective educational model that fosters students’ historical sensitivity and civic responsibility. It contributes to identity formation, value-based education, and critical thinking through a biographical approach to history. Furthermore, the course demonstrates potential as a modern platform for peace education. Ultimately, this initiative offers meaningful academic value by reilluminating the global significance of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and laying a foundation for building a sustainable culture of peace.
목차
Ⅰ. 시작하는 글
Ⅱ. 강의 분석을 통한 「유관순학」의 교육목적 및 기대성과 고찰
Ⅲ. 강좌 수강 전후 비교를 위한 설문조사 연구 설계
Ⅳ. 학습자 관점에서 본 강의 효과 및 반응 평가
Ⅴ. 나가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