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용 보드게임 설계 및 개발 사례연구 : 환경교육을 중심으로
이용수 3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Board Games with a Focus on Environment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 저자명
- 최영화(Young-hwa Choi) 리상섭(Sang-Seub Lee)
- 간행물 정보
- 『교육컨설팅코칭연구』제9권 제1호, 59~8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학계에서 보드게임을 교육용으로 활용하는 사례들이 점차 보고되고 있다. 일정한 규칙에 따라 보드판 위에 몇 개의 말을 두고 주사위 등을 굴려서 움직이거나 카드 등을 놓고 진행하는 보드게임은 청소년뿐만 아니라 성인에게도 여가시간을 즐기면서 재미있게 활용할 수 있는 놀이도구이다. 그러나 재미와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보드게임을 어떻게 교육용 도구로 개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사례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용 보드게임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연구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교육콘텐츠는‘탄소중립교육’으로 선정하였다. 보드게임 개발 목표는 청소년들이 탄소중립의 개념과 실천 방안을 학습도구를 통해 배우고, 이를 바탕으로 기후변화와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실생활에서 실천할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다.
교육용 보드게임 설계를 위해 어떻게 학습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으로 델파이 기법을 활용해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고, 카드 구성 요소와 디자인을체계적으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용 보드게임을 시제품으로 제작하였으며,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론적인 강의보다 체험 중심의 기능성 게임을 통한 교육이 탄소중립의 개념과 중요성을 학생들이 쉽게 이해하고 실천 의지를 강화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용 보드게임의 설계 및 개발 방법은 향후 교육용 보드게임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Recently, cases of using board games for educational purposes in academia are increasingly being reported. Board games in which several horses are placed on the board and moved by rolling dice or playing cards according to certain rules are a play tool that can be used as fun while enjoying leisure time not only for adolescents but also for adults. However, there are not many case studies at home and abroad on how board games can be developed as educational tools aimed at providing fun and enjoy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research method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ducational board games, and the educational content was selected as 'carbon neutral education'. The goal of developing board games is to motivate young people to learn the concept and action plan of carbon neutrality through learning tool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limate change and carbon neutrality, and practice them in real life.
As a method of developing learning contents for educational board game design, expert opinions were collected using the Delphi technique, and card components and designs were systematically designed. The educational board gam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produced as a prototype, and tests were conducted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ducation through experience-oriented functional games rather than theoretical lectures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carbon neutrality easily and strengthening their will to practice.
The design and development method of educational board game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educational board game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환경교육용 보드게임 개발 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