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과학기술 헌법조항의 재검토 및 개정방향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Reconsideration and Revision Dire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stitution Provisions
발행기관
헌법재판연구원
저자명
박기주(Park, Ki-Ju)
간행물 정보
『헌법재판연구』제3권 제1호, 295~31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헌법의 과학기술 조항은 경제헌법의 이념적 가치와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헌법이 만들어질 당시의 우리 사회는 과학기술이 진리탐구를 기본으로 하는 과학을 바탕으로 생성되었다는 사고를 하기 보 다는 경제발전의 수단으로 인식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본 연구는 헌법 제9장을 “경제와 사회발 전”으로 표제를 변화시키고 제127조의 제1항은 “국가는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 및 인력의 개발을 통해 인 간의 존엄과 가치가 과학기술의 발전과 조화되는 사회를 추구한다.”로 개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과학 기술 헌법 체계의 재정립을 위해서 과학기술의 사회적 의미 추구, 자연에 대한 이해와 공조(기초과학 육성 을 포함), 사회의 다양성과 기술의 접목, 공공기술을 통한 과학기술 적정화 등을 통해 과학기술을 통한 사 회발전과 인간과 자연의 지속가능성을 추구할 것을 제안한다. 과학기술기본법을 통해 과학기술정책을 총괄하고 연구개발성과를 확산하여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한 편, 과학기술의 사회적 수용을 위한 법률 등을 제정하여 사회가 새로운 과학기술을 수용할 수 있는 ‘절차적 과정’ 혹은 ‘합리적 대화가능성’의 체계를 만들 필요성도 제기하고자 한다. 헌법의 과학기술조항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가 과학기술과 조화되는 사회를 추구하고 이를 실현하는 수단으로 ‘과학기술기본법’과 ‘과학기 술의 사회적 수용을 위한 법률(가칭)’을 두 축으로 기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가와 사회가 상호 보완적으로 과학기술의 발전과 그로 인한 사회의 조화로운 발전을 추구하는 것이 향후 우리헌법이 추구해 야 할 과학기술헌법 조항의 가치가 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Science and technology provisions of our Constitution have been stayed in the ideological values and limits of the economic constitution. At the time of the Constitution created, our society recognized science and technology as a means of economic development rather than to the recogni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created based on the science that strive for the truth.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title of Chapter 9 in our Constitution should be changed as “the economy and social development” and Article 127 (1) should be revised as follows : “The State shall strive to pursue the society that harmonize human worth and dignity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by developing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and human resources and encouraging innovation. In addition, this research proposes that we should pursue the sustainability for human and nature and development of society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throughout the pursuits of social implica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for nature (including to promoting the basic science), the combination of the social diversity and technology and the pursuits of appropriaten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throughout the social innovation technology in order to re-establish our Constitution system. Meanwhile, it suggests that we should pursue economic interests by spreading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results and coordinating science policy based on ‘framework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It also suggests that we should make legal system that provides us with formal process and reasonable dialogue possibility for social accept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and technology provisions of our Constitution should be pursued the society that harmonize human worth and dignity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utilized two legal system such as ‘framework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social acceptance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next science and technology provisions in the Constitution should be complementary legal system for nation and civil society by harmonizing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science & technolog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기주(Park, Ki-Ju). (2016).과학기술 헌법조항의 재검토 및 개정방향. 헌법재판연구, 3 (1), 295-318

MLA

박기주(Park, Ki-Ju). "과학기술 헌법조항의 재검토 및 개정방향." 헌법재판연구, 3.1(2016): 295-3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