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집2] 국가기관 상호간의 권한쟁의심판절차의 무력화 - 헌재 2015. 11. 26. 2013헌라3, 공보 230, 1742에 대한 평석 -
이용수 0
- 영문명
- Entwertungen des Organstreitsverfahren durch das Koreanische Verfassungsgericht - Bemerkungen zur Entscheidung des koreanischen Verfassungsgerichts (2013Hunla3) -
- 발행기관
- 헌법재판연구원
- 저자명
- 정태호(Chung, Tae-Ho)
- 간행물 정보
- 『헌법재판연구』제3권 제1호, 87~125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헌법재판소법에 명문의 규정이 없음을 이유로 권한쟁의절차에서 개별 국회의원들은 물론 원내교
섭단체에게 국회를 위한 제3자 소송담당자의 지위를 인정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국회의 권한과 국회의원의
권한은 준별되어야 한다는 전제 위에서 대통령과 같은 다른 국가기관은 원칙적으로 국회의원의 심의・표결
권을 침해할 수 없다고 봄으로써 정치적 소수파를 보호하고 국가기관의 기능을 보호해야 할 국가기관 상호
간의 권한쟁의절차의 존재가치를 그 핵심에서 부정한 헌재 2015. 11. 26. 2013헌라3 결정에 대한 평석이다.
본고는 국가기관 상호간의 권한쟁의를 규율하고 있는 헌법 제111조 제1항 제2호를 올바로 해석하고 이
절차에서의 청구적격을 규율하고 있는 헌법재판소법 제61조 제2항을 헌법재판소법이 직접 규율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이 절차의 본질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민사소송 관련 법령 및 행정소송법을 준용하도록
하고 있는 헌법재판소법 제40조와 연계하여 헌법합치적으로 해석할 경우 국회를 위한 원내교섭단체의 제3
자 소송담당권이 추론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만일 명문의 규정이 없다는 이유로 이를 부정하는 입장을 고
수한다면 국회의 권한과 국회의원의 권한이 준별된다는 전제를 포기하고 대통령이 국회의 동의권을 침해하
면 그 동의안 처리와 관련한 국회의원의 심의・표결권이 동시에 침해된다는 입장이라도 취해야 현대 정당민
주주의 현실에서 국가기관 상호간의 권한쟁의 제도의 존재의미를 살릴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영문 초록
Hiermit wird bemerkt zur Entscheidung des Koreanischen Verfassungsgerichts
(2013Hunla3). Sie verneinte die Prozessstandschaft nicht nur einzelner Abgeordneten
sondern auch einer Fraktion für die Rechtspositionen der Koreanischen Volksvertretung im
Verfahren der Organstreitigkeit gegenüber den Republikpräsidenten, der Antrag auf die
Zustimmung der Volksvertretung zu Abschluß und Ratifikation eines völkerrechtlichen
Vertrages nicht vorlegte. Als Hauptgrund dafür wurde die fehlende ausdrückliche
verfassungsprozessrechtliche Regelung über die Prozessstandschaft der Organteile für
Gesamtorgane angeführt. Daneben stellte das Gericht aufgrund strikter Unterscheidung
der Kompetenzen der Volksvertretung von der ihrer Mitglieder auch die
Verletzungsmöglichkeit der Beratungs- und Stimmrechte einzelner Abgeorndneten durch
diese Unterlassung des Republikpräsidenten in Abrede.
Demnach wurde das Organstreitsverfahren zwischen den Staatsorganen, das sowohl
dem konstituierten Minderheitenschutz als auch dem Schutz der Funktion der
Staatsorganen dienen soll, in der heutigen parteienstaatlicen Wirklichkeit, wo politische
Parteien hinter der Regierung und den Parlamentsfraktionen stehen, seinen Sinn im Kern
verlieren.
Dieser Aufsatz versucht zu beweisen, daß die Prozessstandschaft der Fraktion für die
Volksvertretung aus der richtigen Auslegung des Art. 111 Abs. 1 Nr. 2 des Koreanischen
Verfassungsrechts über die Organstreitigkeit zwischen Staatsorganen sowie aus der
verfassungsmäßigen Auslegung des §61 II in Verbindung mit §40 des Koreanischen
Verfassungsgerichtsgesetzes über die Antragsbefugnis in diesem Verfahren folgert.
Außerdem wird unternommen, diejenigen, die die Prozessstandschaft der Fraktion für die
Volksverkretung als ausgeschlossen sehen und dennoch das Organstreitsverfahren als
notwendig für den Schutz der verfassungsmäßigen Kompetenzordung betrachten, zum
Verzicht auf die strikte Kompetenzentrennung zwischen der Volksvertretung und ihren
Mitgliedern zu überrede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집1] 법률의 개정과 권한쟁의심판 결정의 기속력 - 공유수면의 경계와 매립지의 관할결정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을 중심으로 -
- [특집2] 국가기관 상호간의 권한쟁의심판절차의 무력화 - 헌재 2015. 11. 26. 2013헌라3, 공보 230, 1742에 대한 평석 -
- [특집3] 오스트리아 헌법재판소와 최고법원들의 관계
- 탈법행위에 의한 선거 관련 표현행위 금지규정에 관한 연구 - 공직선거법 제93조 제1항의 입법연혁, 관련 판례의 동향 및 심사기준의 문제를 중심으로 -
- [특집1] 공유수면매립지 행정구역 귀속에 관한 권한쟁의심판 결정의 기속력 - 헌재 2004. 9. 23. 2000헌라2 결정과 개정된 지방자치법 제4조 제3항 내지 제9항을 중심으로 -
- [특집2] 권한쟁의심판에서 제3자 소송담당 인정 문제 - 헌재 2015. 11. 26. 2013헌라3 결정 -
- [특집3] 누가 법률해석의 수호자가 되어야 하는가? - 독일의 헌법재판소와 전문법원의 관계 -
- 기본권3각관계
- 과학기술 헌법조항의 재검토 및 개정방향
- 사형제의 위헌 여부에 대한 본질침해금지원칙의 적용 - 헌재 2010. 2. 25. 2008헌가23, 판례집 22-1상, 36 결정에 대한 평석을 겸하여 -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