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집1] 집회의 자유와 ‘허가’의 의미에 관한 고찰

이용수  0

영문명
Eine Studie über die Versammlungsfreiheit und die Bedeutung des Erlaubnisvorbehalts
발행기관
헌법재판연구원
저자명
강태수(Kang, Tae-Soo)
간행물 정보
『헌법재판연구』제4권 제1호, 3~49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집회의 자유에서 집회는 일정한 장소를 전제로 하여 특정 목적을 가진 다수인이 일시적으로 회합하는 것을 말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 공동의 목적은 ‘내적인 유대 관계’로 족하다. 집회의 자유란 공동체에서 개인 의 위험스러운 고립화를 막기 위한 것으로 ‘타인과 함께 있을 자유’ 또는 ‘혼자 있지 않을 자유’를 의미하며 결사의 자유와 함께 집단적인 형태의 인격발전을 보호한다는 것이다. 집회의 자유는 혼자 있지 않을 자유 로서 자신의 사상과 의견을 표현하는 언론·출판의 자유와 다른 독자적인 보호영역을 가진 기본권이다. 기본권 가운데 신분이 드러나지 않은 다수의 일시적 모임을 보호하는 집회의 자유는 집회의 참가자와 그 집회에 반대하는 비참가자 사이에 물리력이 사용될 위험성이 가장 높은 기본권이다. 헌법과 집회의 자 유에는 물리력행사가 금지되는 평화유보원칙이 내재하여 있다. 집회의 자유에서 보호되지 않는 비평화적· 폭력적 행위는 차도에서의 연좌시위와 같이 형법상의 소극적 폭력이나 협박까지 포함하는 개념은 아니다. 현행 집시법 제2조 제1호는 “옥외집회란 천장이 없거나 사방이 폐쇄되지 않은 장소에서 여는 집회”라고 정의하고 있지만, 옥외집회를 구분하는 실익은 비참가자와의 물리적 충돌의 가능성이므로 옥외집회는 “공 중이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는 그리고 폐쇄되지 않은 장소에서 여는 집회”라고 정의하는 것이 타당하다. 집회의 자유가 금지하는 ‘허가’의 개념을 언론·출판의 자유가 금지하는 허가나 검열에서 유추하여 집회 의 목적과 내용에만 국한하는 해석은 집회의 자유의 규범적 독자성을 간과하는 견해이다. 집회의 자유에서 금지하고 있는 ‘허가’는 “행정권이 주체가 되어 집회가 개최되기 전에 예방적 조치로서 집회의 내용·목적· 시간·장소·방법을 사전에 심사하여, 일반적인 집회금지를 특정한 경우에 한하여 행정청의 재량으로 집회를 허용하는 제도”라고 정의할 수 있다. 사법부의 사전적 판단이나 전문가와 일반인으로 구성된 가칭 집회위원회의 사전규제는 법을 집행하는 행정청의 자의적인 재량에 의한 기본권제한의 가능성이 적어서 사전허가가 아니다.

영문 초록

Die Grundrecht der Versammlungsfreiheit soll die drohene Isolierung des Einzelnen verhindern und gemeinsam mit der Vereinigungsfreiheit die Persönlichkeitsentfalung in Gruppenform gewährleisten. Das Koresniache Verfassungsgericht will den Versammlungbegriff neuerdings eng fassen und den Zweck auf die gemeisame Meinungsbildung und -äußerung beschränken. Der sachlich Schutzbereich wird von Art. 21 Abs. 1 auf friedliche (d.h. nicht gewalttätige) Versammlungen begrenzen. Der Begriff der Gewalttätigkeit fordert die aktive körperliche Einwirkung des Täters auf Personen oder Sachen. Die Bestimmung des Art. 21 Abs. 2 Koreanische Verfassung verbietet alle Arten von Erlaubnisverfahren verfassungsrechtliche absolut. Das Koresniache Verfassungsgericht als auch das Bundesverfassungsrericht der BRD ist der Meinung, wonach die Versammungsfreiehit das Recht der Selbstbestimmung über Ort, Zeitpunkt, Art und Inhalt der Versammung beinhaltet. In der 2009 gegen das Versammlungsverbot in nächtlichen Stunden erlassenen Verfassungsgerichtsentscheidung vertraten fünf Verfassungsrichter die Ansicht, daß alle Arten von Erlaubnisvorbehalten für die Versammlungen unter freiem Himmel absolut verboten waren. Die Erlaubnisfreiheit bezieht sich nicht nur auf den Zweck und den Inhalt der Versammungsaussage, sondern auch auf Ort, Zeitpunkt und Art der Versammung. Im Jahre 2014 änderte das Koresniache Verfassungsgericht seine Meinung einstimmig, ohne die Präzedenzfall zu überprüfen. Der Schutzbereich der Versammlungsfreiheit ist anders als derselbe der Meinungsäußerungsfreiheit. Die analoge Interpretation des Zensurverbots der Meineungsfreiheit auf das Erlaubnisverbot der Versammlungsfreiheit ignoriert die normative Eigentümlichkeit der versammlungfreiheit. Der Schutzbereich der Versammlungsfreiheit ist anders als derselbe der Meinungsäußerungsfreiheit. Das Begriffszeichen der ‘Erlaubnis’ der Vereinigungsfreiheit besteht aus zwei Elementen, d.h. ‘grundsätzlich verboten, mit Ausnahme zulassen’ und ‘Ermessen der Verwaltungsbehörd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태수(Kang, Tae-Soo). (2017).[특집1] 집회의 자유와 ‘허가’의 의미에 관한 고찰. 헌법재판연구, 4 (1), 3-49

MLA

강태수(Kang, Tae-Soo). "[특집1] 집회의 자유와 ‘허가’의 의미에 관한 고찰." 헌법재판연구, 4.1(2017): 3-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