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과 중국의 항만 미세먼지 저감 법제 비교: 한국 법제의 개선 방향
이용수 3
- 영문명
- Comparative Study on Port Air Pollution Reduction Legislation in South Korea and China: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Korean Legal Framework
- 발행기관
- 한국국제상학회
- 저자명
- 김진수(Jin-Soo Kim) 박증남(Zeng-Nan Piao)
- 간행물 정보
- 『국제상학』第40卷 第1號, 85~9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세먼지 문제는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환경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항만 지역은 선박 배출가스 등으로 인해 대기오염이 심각한 지역 중 하나이다. 이에 대응하여 한국은 「항만지역등 대기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였으며, 중국은 국가 법률과 함께 국가 배출통제구역(DECA) 운영 등 강력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항만 미세먼지 저감 법제를 비교·분석하고, 한국 법제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한국 법제는 법적 강제력 부족, 규제 집행력 미비 등의 한계를 보였으며, 반면 중국은 육상전원공급시설(AMP) 사용 의무화, 선박 저속운항(VSR) 강제 적용, 친환경 선박 전환 지원 등 강력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의 법제 개선을 위해서는 AMP 사용 의무화, VSR 규제 강화, 외국 선박 동일 기준적용, 법제 간 연계성 강화가 필요하다. 또한, IMO 및 EU 환경기준과의 정합성을 고려한 정책 조정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법제 비교를 통해 한국 항만 미세먼지 저감 정책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정책적 기여를 가진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compared port air pollution laws in South Korea and China to identify the regulatory gaps and suggest improvements amid rising fine particulate matter (PM) concer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 qualitative, literature-based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Korea’s Port Air Quality Improvement Act and China’s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Law.
Results: Korea’s targeted framework faces weak enforcement and fragmented policies, while China enforces DECA with AMP, VSR, and green incentives, achieving stronger implementation
Conclusions: Korea should mandate AMP, enforce VSR, standardize foreign vessel rules, and enhance policy integration. In addition, aligning with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and European Union environmental standards will improve legal consistency and promote sustainable port air quality management.
목차
Ⅰ. 서 론
Ⅱ. 항만 미세먼지 저감 관련 법제 개관
Ⅲ. 한국과 중국의 항만 미세먼지 저감 법제 비교
Ⅳ. 한국 법제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중국의 항만 미세먼지 저감 법제 비교: 한국 법제의 개선 방향
- 미국 우선주의 통상·산업 정책과 한국 수출산업의 위기 대응 방안
- 미국의 탄소배출권 거래 상계관세 부과와 실무적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WTO 체제하 민간항공기 보조금에 관한 연구: 중국 여객기 C919를 중심으로
- 신선식품 새벽 배송 서비스 품질과 지속 이용 의도의 관계에서 브랜드 신뢰와 유용성의 매개효과 분석
- 포워더의 경쟁역량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디지털물류 서비스 역량의 매개효과 분석
- AEO제도 운영역량이 기업협력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EO-MRA 협정범위의 조절효과
- Problems and Solutions of Smart Logistics Centers in the Era of Global Artificial Intelligence
-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물류산업 ESG 이슈 변화분석: 2020-2024
- 프레이트 포워더의 물류서비스 품질에 대한 화주와의 인식 비교 연구: AHP/IPA 활용
- 전기차 해상운송시 안전성 향상 요인에 대한 연구
-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Chinese Automobile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using MLP Neural Networks
- 차량용 전장 부품의 미국 CBP 비특혜 원산지 판정 사례 연구
- 화주의 풀필먼트 서비스 제공업체 선정요인과 경쟁력 제고 방안
- 항공사 ESG 경영활동이 조직구성원의 조직기반자존감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기반자존감의 매개효과
- 구성원의 ESG경영에 대한 인식이 조직시민행동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NEW
- 한-중 FTA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PSR) 엄격성 차이에 관한 연구
- 미국 반도체과학법의 시행에 대한 연구: 한국에 미치는 입법적 동향의 관점에서
- 중국의 분쟁해결의 실무에서 다단계분쟁해결조항의 적용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