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캐나다 일자리공유제 판결에 대한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 Analysis on Fraser Case Made by the Supreme Court of Canada
- 발행기관
- 헌법재판연구원
- 저자명
- 정주백(Jeong, Joo-Baek)
- 간행물 정보
- 『헌법재판연구』제8권 제2호, 321~35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캐나다 연방최고법원의 결정(‘이 결정’)을 분석해 본다. 이 결정의 핵심적인 이슈는 간접차별을 인정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우리 헌법재판소의 이른바 제대군인가산점 결정과 쟁점을 공유한다.
이 결정에서는 먼저 헌장상의 차별금지 사유가 한정적인 것임을 전제로, 일자리공유제를 선택한 사람
과 그렇지 않은 사람 사이의 다른 처우가 간접차별에 해당된다고 판시하였다. 여기에 입법자의 의도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보았다. 나아가 원고들이 스스로 판단하여 일자리공유제를 선택하였기 때문에
불이익을 입은 것이라 하더라도 그 불익을 차별적인 것이라 본다고 판시하였다. 이 결정은 일자리공유제
를 선택한 사람에게 연금상의 불이익한 처우를 하는 것이 위헌이라 판단하였다.
간접차별 이론은 차별을 금지하는 사유가 한정적인 것임을 전제로 하여서만 인정될 수 있다. 그래서
간접차별 이론은 ‘법상 금지되지 아니한 차별’이 ‘법상 금지되는 차별’로 전환되는 기제를 제공한다. 그런
점에서 캐나다의 경우는 간접차별을 논의할 토대는 갖추어져 있다. 그런데 우리 통설과 판례는 차별금지
사유를 한정하지 않으면서도 간접차별 이론을 이용하여, ‘A라는 사유로 인한 차별’을 ‘B라는 사유로 인한
차별’로 전환하였다. 차별 아닌 것을 차별로 전환한 것이 아니다.
입법자의 의도는 차별을 인식하는데 고려요소가 아니라는 판단은 이해하기 어렵다. 중립적인 기준으
로써 만들어진 법이라 하더라도 각 집단별로 그 효과는 다를 수 있다. 각 집단별로 미치는 효과가 다르다
는 이유만으로 그 법이 평등권 침해의 문제를 일으킨다면, 세상의 거의 모든 법은 차별적인 것으로 인식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제대군인가산점 결정에서도 입법자의 의도는 고려되지 아니하였다.
원고들이 일자리공유제를 선택하지 아니할 수 있었다는 사정이 차별을 인정하는데 영향이 없다는 판
단에 동의하기 어렵다. 평등의 이념적 기초는 ‘선택할 수 없는 사유’를 이유로 불이익한 처우를 하면 안
된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대안들은 전부 법적 효과가 다르다. 사람들은 대안들 중에서 자신에게 가장 유
리한 것을 선택한다. 당연히 그 선택에 대해서 책임을 진다. 만약 선택한 대안들 사이에 법적 효과가 달
라서는 안 된다면, 자유란 무의미하다. 대안은 하나 밖에 남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We analyzed the decision (“This decision”) made by the Supreme Court of Canada
(“SCC”). The key issue of this decision is whether to recognize indirect discrimination
in the case. It deals with the same issue as in the rul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regarding the veterans’ additional point system.
In this decision, the SCC ruled that treating a person who chose the job sharing
system and a person who did not differently constitutes the indirect discrimination,
on the premise that the reasons for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stipulated in
the Canadian Charter of Rights and Freedoms are restricted. SCC also viewed that
the intention of the lawmakers had no effects in the matters. Furthermore, in its
ruling, the SCC decided that the disadvantageous treatment experienced by the
complainants was discriminatory even though they voluntarily chose the job sharing
system on their own. As such, the SCC ruled that it was unconstitutional to treat
people who chose the job sharing system unfavorably on pension system.
The theory of indirect discrimination can only be justified on the condition that
the grounds for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re limited. Therefore, the indirect
discrimination theory provides a mechanism in which the ‘discrimination not
prohibited by law’ is converted into the ‘discrimination prohibited by law’. In that
sense, Canada seems to have a foundation for discussion about matters regarding
indirect discrimination. However, in the case of Korea, common opinions and rulings
have converted the issue of the ‘discrimination for the reason of A’ into the
‘discrimination for the reason of B’ on the basis of indirect discrimination theory,
without restricting the reasons for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It is not a
conversion of matters not qualifying as discrimination into those qualifying
discrimination.
It is hard to accept that the intention of the lawmakers is not a factor to consider in recognizing discrimination. Even if the law was created based on impartiality,
its effect may vary from group to group. If the law violates equal rights simply because
the effect of law is different for each group, almost all laws existing across the globe
may be perceived as discriminatory. The intention of the lawmakers was not taken
into account in the ruling of our Constitutional Court regarding the veterans’
additional point system.
It is hard to agree that circumstances in which the complainants had an option
not to choose the job sharing system would have no effect in recognizing
discrimination because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equality dictates that we should
not put someone at a disadvantage for a reason that such person had no right to
choose otherwise. Every choice has its own, different legal effects and people choose
the most advantageous one from those choices. And people take responsibility for
that choice as well. If the legal effects should not be different between the choices,
freedom would be a hollow word, because if that is the case, there will be only
one choice left in the en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집1] EU 인공지능명령안의 주요 내용과 그 시사점
- [특집2]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특집1] 인공지능의 법적정의와 인공지능기술 발달에 따른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
- [특집1] 인공지능과 헌법적 쟁점 - 인공지능의 차별에 관한 유럽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예술의 자유 보호영역 확정을 위한 ‘예술’의 개념
- 기소유예 처분에 대한 헌법소원심판 대상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특집2] 캐나다 민주주의를 재판하다
- [특집1] 인공지능과 민주주의에 관한 소고
- 영국 인권법 하에서의 규범통제의 양상 - 불합치선언(Declaration of Incompatibility)을 중심으로 -
- 캐나다 일자리공유제 판결에 대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이탈리아]외국에서 받은 보조생식의료 시술로 이탈리아에서 출산한 자녀를 동성커플의 비생물학적 모의 법적 자녀로 인정하지 않는 법조항의 위헌성
- [프랑스]통행 및 체류 권리 확인을 위한 외국인 임시구금 절차에 식사할 권리를 규정하지 않은 것이 인간존엄성에 반하는지 여부
-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에 근거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행정명령의 합헌성 논쟁: 5.29.자 美국제무역법원의 위헌 판결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