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집2] 캐나다 민주주의를 재판하다
이용수 3
- 영문명
- Judging Democracy in Canada
- 발행기관
- 헌법재판연구원
- 저자명
- 리처드 앨버트(Richard Albert)
- 간행물 정보
- 『헌법재판연구』제8권 제2호, 133~172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캐나다의 입헌민주주의는 비록 완벽과는 거리가 멀지만 1867년 캐나다 연방이 탄생한 이래 많은 발전
을 이루었다. 그 동안 연방대법원은 민주주의의 기본을 정의하고 보호함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헌법기관
의 역할을 하였다. 제10회 국제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하는 한국 헌법재판소 산하 헌법재판연구원의 초청
에 응하여 준비한 본고에서는 오늘날 캐나다 민주주의의 근간을 이루는 원칙을 형성함에 있어 연방대법
원이 한 역할을 살피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민주주의 관련 사건에서 헌법재판을 하면서 연방대법원이
답한 다섯 가지 주요 질문을 살펴볼 것이다. 캐나다 민주주의의 기본가치는 무엇인가? 캐나다라는 자유
민주주의 사회에서 권리 침해를 정당화할 수 있는가? 민주주의에서 누가 투표권을 갖는가? 연방정부로부
터의 분리독립 시 민주주의의 역할은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캐나다 민주주의에서 연방대법원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 다섯 가지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연방대법원의 대답은 캐나다식 입헌민주주의 개념의 핵을
이룬다. 나아가 연방대법원의 대답은 캐나다가 세계적으로 존경받는 입헌민주주의 국가로 발돋움하는 데
기여하였다.
영문 초록
Canada’s constitutional democracy is far from perfect but the country has made
significant progress since Confederation in 1867. In that time, no constitutional actor
has been more important than the Supreme Court to defining and protecting the
foundations of democracy. In this Essay prepared at the invitation of the
Constitutional Research Institute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on the occasion
of its 10th International Symposium, I examine the role of the Supreme Court in
fashioning the principles that today define democracy in Canada. I examine five
major questions answered by the Supreme Court in the course of its constitutional
adjudication on democracy-related controversies. What are the foundational values
in Canada’s democracy? Are rights infringements justifiable in our free and
democratic society? Who has the right to vote in our democracy? What is the role
of democracy in secession? And what is the role of the court in our democracy?
The Court’s answers to these five essential questions go to the heart of the Canadian
conception of constitutional democracy. The Court’s answers have moreover helped
to cement the country’s status as one of the world’s most admired constitutional
democraci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집1] EU 인공지능명령안의 주요 내용과 그 시사점
- [특집2]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특집1] 인공지능의 법적정의와 인공지능기술 발달에 따른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
- [특집1] 인공지능과 헌법적 쟁점 - 인공지능의 차별에 관한 유럽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예술의 자유 보호영역 확정을 위한 ‘예술’의 개념
- 기소유예 처분에 대한 헌법소원심판 대상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특집2] 캐나다 민주주의를 재판하다
- [특집1] 인공지능과 민주주의에 관한 소고
- 영국 인권법 하에서의 규범통제의 양상 - 불합치선언(Declaration of Incompatibility)을 중심으로 -
- 캐나다 일자리공유제 판결에 대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이탈리아]외국에서 받은 보조생식의료 시술로 이탈리아에서 출산한 자녀를 동성커플의 비생물학적 모의 법적 자녀로 인정하지 않는 법조항의 위헌성
- [프랑스]통행 및 체류 권리 확인을 위한 외국인 임시구금 절차에 식사할 권리를 규정하지 않은 것이 인간존엄성에 반하는지 여부
-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에 근거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행정명령의 합헌성 논쟁: 5.29.자 美국제무역법원의 위헌 판결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