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집1] 인공지능의 법적정의와 인공지능기술 발달에 따른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
이용수 3
- 영문명
- The Legal Defini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Duty of Protecting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 발행기관
- 헌법재판연구원
- 저자명
- 강현구(Kang, Hyun-Koo)
- 간행물 정보
- 『헌법재판연구』제8권 제2호, 29~6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기계학습의 일종인 심층학습에 관한 연구의 발달은 인공지능을 급격하게 발달시켰다. 사람이 만
들어낸 기계가 사람의 능력을 넘어선 예는 전부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많지만, 인공지능은 사람의 본질
적이고 가장 중요한 능력인 지능을 가진 실체라는 점에서 다른 기계들과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차이점
은 인공지능에 대한 기대와 함께 우려도 같이 가지고 오는데, 이러한 우려는 인공지능에 관하여 헌법적
논의를 할 필요성을 제공한다.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의 이행은 일반적으로 다른 기본권 주체의 기본권을 제한하는 결과도 함께 가
져오므로, 인공지능에 의해 기본권을 침해당할 우려가 있는 사인을 보호하기 위해 법규범을 제정한다면
인공지능을 개발하여 사용하려는 자의 직업의 자유 등을 제한하게 된다. 즉, 기본권 제한을 수반하는 법
률에 해당하게 되는 것이다. 기본권 제한을 수반하는 법률은 명확성의 원칙을 충족시켜야 하므로 그 규
율대상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을 것이 요구되는데, 인공지능에 관한 법률은 먼저 인공지능의 개념을 명
확히 해야 한다. 결국 인공지능에 의해 침해되는 기본권에 대한 국가의 보호의무의 논의는 인공지능의
개념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에서부터 출발하여야 하는 것이다. 인공지능에 대하여 충분히 수긍할 만한
개념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관련 법률을 제정한다면,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못
하면서 인공지능을 사용하려는 사인의 직업수행의 자유 등을 침해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인공지능의 법
적 개념 정립은 헌법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인공지능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법은 인간을 중심에 두
고 그 능력을 전자적으로 구현하는 것을 중점에 두는 방법, 불확실한 상황 하에서 가장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전자적 실체를 만드는 것을 중점에 두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인공지능
연구의 대부분은 후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인공지능의 실체가 인간의 지적
능력을 그대로 구현한 것으로 보기에는 어렵다는 점에서 인공지능의 개념 정의를 할 때에는 후자에 중점
을 두어야 한다. 그렇다면 인공지능의 법적 개념을 「복잡한 환경 아래에서 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환경을
인식하고,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정보와 지식에 기반을 둔 탐색으로 주어진 목적 달성에 가장 적
합한 행동을 선택하여 실행하는, 인간에 의해 고안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시스템」이라고 하는 것
이 규율의 대상을 놓치지 않아 기본권보호의무를 충분히 이행하면서도 기본권 제한 규정의 명확성을 추
구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이러한 정의도 명확하지 않다고 볼 여지도 있으나 인공지능은 계속해
서 발전하는 분야이고 그 응용분야도 다양하기 때문에 그 개념을 어느 정도는 개방된 상태로 둘 필요가
있다.
인공지능에 대한 사항을 정하는 법률에서 지나치게 규제의 관점에서만 접근한다면, 인공지능의 발전
을 가로막을 수 있는데 이것은 인공지능이 창출할 수 있는 경제적 가치 등에 비추어 올바른 현상이 아니
다. 인공지능으로 침해 가능한 사인의 기본권을 보호하면서도 인공지능의 발전을 저해시키는 일은 없어
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법률에 많은 내용을 담기 보다는 민주적이면서도 전문적인 심의를 할 수 있는 기
구를 만들어 각종 처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중앙행정기관으로서
설립하기엔 시기상조라고 볼 수도 있는데, 그렇다면 위원회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설립하여 그 심의
의결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따르는 방안도 생각할 수 있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development of research on deep learning, a type of machine
learning, has rapidly developed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 are many examples of
human-made machines exceeding human abilities, but artificial intelligence differs
from other machines in that it is a entity with intelligence, which is an essential
ability of humans. These differences bring not only expectations but also concerns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provides the need for constitutional discussions
on artificial intelligence. The fulfillment of the state’s duty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generally results in limiting the basic rights of other individuals. Laws to protect
individuals who may be infringed on basic rights by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limit the freedom of occupation of those who want to develop and use artificial
intelligence. Laws that limit basic rights must meet the principle of clarity, so it
is required that the subject of discipline be clearly defined. Therefor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aw must first clearly define the concep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f
related laws are enacted without artificial intelligence being properly defined, there
is a risk of violating individual freedom of occupation while failing to properly fulfill
the obligation to protect basic rights. Methods of approaching artificial intelligence
may include focusing on human beings and electronically implementing their
abilities, and focusing on creating an electronic entity that can make the most
rational decisions under uncertain circumstances. However, since most of the current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is centered on the latter, and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e re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currently used embodies human intellectual ability,
the latter should be focused when defining the concept. It would be reasonable to
assume that it is the realm of biology, not the realm of computer science using
electronic methods. If so, I think it is correct to call the legal concep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 “software or hardware system designed by humans, which recognizes the environment through data analysis under complex environments and selects and
executes actions that best suit the achievement of a given goal with information
and knowledge.” Of course, this definition may not be clear, but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continuously developing field and its application fields vary, so it is necessary
to leave the concept open to some extent.
I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ct is approached excessively from the perspective
of regulation, it can block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is not
the right phenomenon in light of the economic value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
create. For now, I think it is a desirable direction to create an organization that
can conduct democratic and professional deliberations rather than to contain a lot
of content in the law so that various dispositions can be made. It may be considered
premature to establish as a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and if so, I think it is
one way to establish a committee in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recognize
its binding force on the resolu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집1] EU 인공지능명령안의 주요 내용과 그 시사점
- [특집2]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특집1] 인공지능의 법적정의와 인공지능기술 발달에 따른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
- [특집1] 인공지능과 헌법적 쟁점 - 인공지능의 차별에 관한 유럽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예술의 자유 보호영역 확정을 위한 ‘예술’의 개념
- 기소유예 처분에 대한 헌법소원심판 대상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특집2] 캐나다 민주주의를 재판하다
- [특집1] 인공지능과 민주주의에 관한 소고
- 영국 인권법 하에서의 규범통제의 양상 - 불합치선언(Declaration of Incompatibility)을 중심으로 -
- 캐나다 일자리공유제 판결에 대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이탈리아]외국에서 받은 보조생식의료 시술로 이탈리아에서 출산한 자녀를 동성커플의 비생물학적 모의 법적 자녀로 인정하지 않는 법조항의 위헌성
- [프랑스]통행 및 체류 권리 확인을 위한 외국인 임시구금 절차에 식사할 권리를 규정하지 않은 것이 인간존엄성에 반하는지 여부
-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에 근거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행정명령의 합헌성 논쟁: 5.29.자 美국제무역법원의 위헌 판결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