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집1] 인공지능과 민주주의에 관한 소고
이용수 3
- 영문명
-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mocracy
- 발행기관
- 헌법재판연구원
- 저자명
- 윤수정(Yun, Soo-Jeong)
- 간행물 정보
- 『헌법재판연구』제8권 제2호, 3~2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스마트폰 하나면 모든 것이 해결되는 포노 사피엔스(Phono Sapiens)의 시대, 인공지능(AI)은 우리의
삶에 밀접하게 스며들고 있다. 이제 인공지능의 문제는 ‘만약(if)’의 문제가 아닌 ‘얼마나 신속하게(how
fast)’, 그리고 ‘어느 범위까지(to what extent)’ 허용할 것인가를 다루어야 하는 현실적인 문제이며, 국가
공동체의 일상, 나아가 인류의 미래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로 발전하고 있다.
인공지능이 인류의 삶의 다양한 영역으로 진출하면서 또 하나 주목할 만한 영역은 정치이다. 정치가
디지털화되면서 다수의 국민으로 정치 주체가 변화하였고, 다양한 정치 의제가 제기되었으며, 정치 참여
의 방식이 변화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정치는 이제 인공지능을 정치에 활용하는 것으로 발전하고 있다.
인공지능의 발전은 민주주의와의 관계에서도 다양한 기회와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개인의 자유와 자기결정의 사고를 국가공동체 내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헌법원리인 민주주의는 본질적
으로 대의민주주의를 통해 실현된다. 그러나 현실에서 대의민주주의는 민주적 대표성과 책임성의 왜곡이
발생하면서 위기에 직면하였고, 지속된 코로나19 상황은 이를 가속화시켰다. 이러한 대의민주주의의 한
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공지능이 활용되고 있지만, 그 영향은 양날의 칼과 같다. 보편적인 정보접근성이
강화, 대의민주주의 한계의 완화, 인공지능 거버넌스 구축, 인간의 자유 영역 확대, 정치의 공정성 증대
등의 긍정적 효과가 기대되기도 하지만, 새로운 감시 사회의 출현, 정치적 의사형성의 왜곡과 불충분성
초래, 소수 디지털 기업에의 권력 집중 등의 부작용도 간과(看過)할 수만은 없다. 그러므로 인공지능이
민주주의와 공존(共存)하기 위해서는 민주주의 관점에서 유익한 목적의 인공지능의 개발은 장려하면서
도 부정한 목적의 개발과 이용, 그리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규범적 대응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규범적 대응의 기본원칙은 ‘인간 중심의 인공지능’이 되어야 한다. 인공지능의 설계, 개
발 및 활용의 전 단계에서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하여야 하며, 인공지능은 인간의 자율성을 보완하는 수
단으로서만 활용되어야 한다. 이제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인공지능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보다 인공지
능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적극적으로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영문 초록
In the era of Phono Sapiens, where everything is solved with a smartphone,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closely permeating our lives. Now, the problem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not a problem of “if,” but a realistic problem that has to deal with “how fast” and
“to what extent” to allow, and is developing into an important problem that can determine
the daily life of the national community and even the future of mankind.
As artificial intelligence advances into various areas of human life, another notable
area is politics. As politics became digital, the political subject changed to a large number
of citizens, various political agendas were raised, and the way of political participation
changed.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lso poses various opportunities and
risks in relation to democracy.
Democracy, a constitutional principle that seeks to realize the thoughts of individual
freedom and self-determination within the national community, is essentially realized
through representative democracy. However, in reality, representative democracy faced
a crisis due to the distortion of democratic representation and accountability, and the
continued COVID-19 situation accelerated this. Artificial intelligence is being u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but its influence is like a
double-edged sword. Although positive effects such as strengthening universal
information access, easing representative democratic limits, building artificial
intelligence governance, expanding the realm of human freedom, and increasing political
fairness are expected, there are side effects such as the emergence of a new surveillance
society, distortion and insufficiency of political opinion. Therefore, in order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o coexist with democracy, a normative response aimed at minimizing side
effects from a democracy perspective is necessary. The basic principle of this normative
response should be ‘Human-Centered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dignity should be
respected in all stag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sig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hould only be used as a means of supplementing human autonomy.
It is time to actively think about what to do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rather than what
can be don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o realize democrac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집1] EU 인공지능명령안의 주요 내용과 그 시사점
- [특집2]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특집1] 인공지능의 법적정의와 인공지능기술 발달에 따른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
- [특집1] 인공지능과 헌법적 쟁점 - 인공지능의 차별에 관한 유럽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예술의 자유 보호영역 확정을 위한 ‘예술’의 개념
- 기소유예 처분에 대한 헌법소원심판 대상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특집2] 캐나다 민주주의를 재판하다
- [특집1] 인공지능과 민주주의에 관한 소고
- 영국 인권법 하에서의 규범통제의 양상 - 불합치선언(Declaration of Incompatibility)을 중심으로 -
- 캐나다 일자리공유제 판결에 대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이탈리아]외국에서 받은 보조생식의료 시술로 이탈리아에서 출산한 자녀를 동성커플의 비생물학적 모의 법적 자녀로 인정하지 않는 법조항의 위헌성
- [프랑스]통행 및 체류 권리 확인을 위한 외국인 임시구금 절차에 식사할 권리를 규정하지 않은 것이 인간존엄성에 반하는지 여부
-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에 근거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행정명령의 합헌성 논쟁: 5.29.자 美국제무역법원의 위헌 판결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