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집1] 사회문제와 사회보장법 – 체계 사고를 중심으로 –
이용수 2
- 영문명
- Social Problem and Social Security Law – Based on the System Thinking –
- 발행기관
- 헌법재판연구원
- 저자명
- 전광석(Cheon, Kwang-Seok)
- 간행물 정보
- 『헌법재판연구』제9권 제2호, 29~65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28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회보장법은 사회문제와 그 변화를 충실히 인식하고 이에 대한 처방을 제도화하여 개인의 생활을 안
정적으로 보장하여야 한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제도 목적에 비추어 우리 사회보장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사회 및 사회문제가 변화하는 상황에서 사회보장법의 진행방향을 서술한다. 이때 역사적으로
형성된 사회보장입법이 특정한 체계를 형성한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이와 같은 사고는 다양한, 그리고 새
로운 사회문제에 대한 규범적 처방을 논의하는 준거가 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진행방향에 대한 논의가
안정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사회문제와 사회보장법의 미완성성 및 개방성에 비추어 보면 이는
엄격한 체계가 될 수는 없다. 즉 기존의 체계를 구성하는 요소를 변형하거나 새로운 요소가 보충되어야
하며, 이 점에서 체계의 사고와 개별 사회보장법 및 사회보장법이 규율하는 대상의 다양성과 가변성은
어느 정도 긴장관계에 있다.
우리 사회보장법이 형성하는 체계는 ‘낮은 수준의 평등한 복지’와 사회적 위험 및 상황을 ‘다원적 제도
의 기능적 협력관계’에서 ‘사회보험을 중심으로’ 보장한다는 특징으로 요약된다. 이 점은 1990년대 이전
시기의 사회보장입법에서 확인될 수 있었다. 1990년대 진행되기 시작한 세계화, 1990년대 말 우리의 외
환위기, 2007-08년 전 세계가 겪은 재정위기는 우리 사회보장법의 체계를 다시 정비하고 보충하는 계기
가 되었다. 노인빈곤과 노동빈곤이 보편화되었다. 산업구조와 노동시장의 변화로 인하여 노동 및 소득이
불안정하고 그 결과 복지생산과 연계되지 못하는 것이 근본적인 문제였다. 노동은 자체가 복지를 생산하
는 장(場)이 되어야 하며, 이에 고용은 고용보험의 과제이지만 동시에 국가과제의 성격을 강화하여야 한
다. 고용보험이 보호할 수 없는 대상자를 사회 및 노동시장에 다시 진입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공공부조
는 적극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노동과 소득, 그리고 복지생산의 선순환이 회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서는 노동시장의 유연화에 상응하여 복지생산의 구조가 유연화 되어야 한다. 사회보험에서 노동법상의
근로자 개념에 구속되지 않고 보호의 필요성을 기준으로 비정규직·비전형적인 고용유형으로 가입대상을
확대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Social security law should understand the social problems and their change to
institutionalize the necessary measures and finally to secure the decent livelihoods
of the individual. This article aims to critically analyze the current social security
law and to propose the policy direction facing the changing social structure. It is
based on the system, which was formed in the course of the historic development
of the social security law in Korea. This way of approach is useful in that it delivers
a stable reference for the discourse about the normative reaction to the diverse and
new social problems. However the strict meaning of system is not envisaged, because
the social problems and social security law is characterized as incomplete and open.
I.e. the existing system should be modified or supplemented with new institutional
elements, and in this regard the system thinking is in some degree tensely related
with the diverse and complex social problems.
The social security law in Korea can be in terms of system thinking
characterized as follows; The social risks and situations should be protected
basically through social insurances, which function in the cooperation among
various social insurances themselves and with other kind of social institutions
which equally provide the low level of social benefits. This character could be
confirmed in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security legislation until 1990. The
globalization, foreign exchange crisis of Korea, and global financial crisis
motivated the system of social security law to realign and supplement it in
Korea. The elderly poverty and working poor spread wiedely. Facing the change
of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labor market the employment and income become
unstable which is then connected with the unstable welfare production. In this
context the labor itself should produce the welfare on the one hand,
employment policy should be beyond the unemployment insurance enforced as a
state task. Public assistance should be activated to support the persons to whom
the unemployment insurance cannot be applied to enter into the labor market.
The circulation among the labor, income and welfare production should be recovered. To this purpose the welfare production should be made flexible in
accordance with the flexibilization of the labor market. Social insurances should
be applied beyond the traditional type of work also to the irregular work and
untypical type of work on the base of the necessity of social protec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집1] 사회문제와 사회보장법 – 체계 사고를 중심으로 –
- [특집1] 사회보장과 헌법재판 - 주요 결정을 통해 본 의의와 과제 -
- [특집1] 복지국가 원리의 이념적 기초에 대한 고찰
- 평등권 침해 여부에 대한 심사 방법 - 2019헌가3, 공직자 재산등록 결정을 소재로 하여 -
- [특집2] 세계입헌주의와 인권보장체계
- 형법상 명예훼손죄에 대한 최근 헌법재판소 결정의 검토
- 영국의 이주구금에 대한 불복절차와 변호인의 조력
- [특집2] 포퓰리즘, 팬데믹과 전쟁의 시대에 국제법의 탈(脫)입헌주의를 반대하며
- [특집2] 세계입헌주의, 인권과 비례의 원칙: 소크라테스식 논쟁의 제도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