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s between Domestic Violence Victimization and Violence of Military Service Members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피해자학회
- 저자명
- 권익숙(iksook Gwon) 노희주(Heejoo Noh) 조윤오(Younoh Cho)
- 간행물 정보
- 『피해자학연구』제33권 제2호, 69~9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군대 조직 내에서는 온라인 불법도박, 위계적 통제, 병영부조리, 열악한 근무환경 등 다양한 부적응 문제가 존재한다. 특히, 군대 내 구성원들의 폭력행위는 다양한 군대 내 가혹행위와 깊이 연관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무엇보다도 군대 내 가혹행위는 범죄사실이 외부에 잘 알려지지 않고 군대의 위계적, 폐쇄적 하위문화로 해당 폭력이 반복, 대물림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피해자학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피해-가해 중첩이론(Victim-offender overlap theory)”을 바탕으로 군인이 겪은 유년 시절의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군내 가해행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2025년 5월 약 한 달 동안 군인(예비역 포함)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중 조직 내 군 생활의 구조적 차이가 많은 40대 이상 응답자 3명과 유효하지 않은 응답을 제외하고 총 10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과거 가정폭력 피해 경험이 군내 폭력 가해경험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대상자의 직접적 가정폭력피해 경험과 간접적 가정폭력피해 경험이 서로 상이하게 군 내 폭력 가해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른 변인들을 모두 통제했을 때, 직접적인 가정폭력 피해경험은 유의미하게 군대 내 폭력행위를 감소시키는 반면, 간접적인 가정폭력피해 경험은 유의미하게 군대 폭력행위를 증가시키는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형식적 병력관리 중심의 접근을 넘어, 병사 개개인이 경험한 과거 가정폭력피해 경험을 하나의 중요한 사전 위험요인으로 파악하여 직접적 피해와 간접적 피해를 세심하게 구분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향후 가정폭력 피해경험을 가진 군인의 폭력행위가 어떤 전이과정을 거쳐 발현되는지 추가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impact of prior domestic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on violence of military persons in South Korea. The key dependent variable of violence was measured in terms of both the subjective perception toward aggressions for the military setting and objective violent behaviors that military service members had committed. This present study utilized the “Victim- Offender Overlapping Theory” as a crucial theory framework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prior domestic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problematic behaviors of the military service members.
The total 108 soldiers and military service members were participated in the self-reported survey for the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pproximately a month in May, 2025.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utilized in order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rior domestic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aggressive behaviors in the military setting.
Result demonstrates that age(+), direct victimization(-) and indirect victimization(-) experienc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are related to the violent behaviors of military service members when other variables are controlled. Interestingly, the direction of direct domestic victimization and indirect domestic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were not consistent in terms of the relationships with violence behaviors in the context of military environment. Further policy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및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제폭력 판결문에 관한 실증적 분석: 범죄특성과 입법적 논의
- 청소년 사이버폭력 피해자의 대처방식 유형 및 영향요인 연구
- 군인의 가정폭력 피해경험과 폭력행위와의 관계
- 교제폭력 집행유예 선고 판결문 분석: 피해자 보호와 제도 개선을 중심으로
- 범죄피해자의 형사절차참여권과 국선변호사제도 검토
- 강압적 통제 피학대여성의 가해 남편 살해와 정당방위의 문제 - 영국 법제의 발전과 이용식의 계속범 이론 재조명
- 범죄피해 아동의 법률 문해력: 법률용어와 전문가 역할 이해도를 중심으로
- ‘세대초월적 피해(transgenerational harm)’ 개념에 관한 고찰 - 국제형사재판소의 최근 피해자 배상 판결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