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형법상 명예훼손죄에 대한 최근 헌법재판소 결정의 검토
이용수 0
- 영문명
- Review of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s on Defamation Regulations under the Criminal Law
- 발행기관
- 헌법재판연구원
- 저자명
- 이재희(Lee, Jae Hee)
- 간행물 정보
- 『헌법재판연구』제9권 제2호, 325~35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28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헌법재판소의 명예훼손죄에 대한 결정은 표현의 자유보다는 명예훼손처벌을 통해 인격권을 보호
하겠다는 관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인격권 보호의 중요성이 충분히 인정되고, 명예침해에 대한 회복
의 어려움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미 현재의 형사처벌법제가 인격권 보호의 관점에서 구축되
어 있고, 이러한 상황에서 표현의 자유에 대한 축소된 보호를 회복시키기 위한 기준으로서 관건이 되는
명예훼손죄 위법성조각사유의 공익성 요건이 제 기능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표현의 자유를 행사하는 자
는 명예훼손죄의 형사책임을 감수하거나 위법성이 조각될 수 있을지 전적으로 사법부의 판단에 맡기게
되는 불확실성을 감수하지 않고서는 표현의 자유를 행사하기 어려울 수 있다. 불명확한 기준으로 인하여
처벌대상이 될 것인지, 위법성이 조각될 수 있는지 사법부의 판단 여하에 맡겨져 있다는 점은 표현의 자
유에 대한 위축효과를 야기하게 된다. 인격권을 비롯한 법익 보호도 중요하지만, 이것을 과연 제재 자체
로서도 가장 강력한 것이면서 위축효과까지 야기할 수 있는 형벌법규를 통해 달성해야 하는 것인지, 이
로 인하여 민주사회에서 필수적인 의사소통과 비판 및 감시기능을 제한하게 되는 것은 아닌지 그 해악의
결과에 대하여도 진지하게 숙고해볼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recent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s on defamation seem to have given
priority to protecting personal rights rather than freedom of expression. The
importance of protecting the reputation is fully recognized, and the difficulty of
recovering from damage to the reputation should also be considered. However, the
cu rrent c riminal law system h as a lready b een e stablished f or t he p rotection of
personal rights. In this situation, in order to restore the reduced protection of
freedom of expression, the element of public interest is important as a ground for
the illegality of defamation. However, the interpretation of this requirement is too
wide to function properly. Therefore, it may be difficult for people to exercise their
freedom of expression without taking the criminal responsibility for defamation or
the uncertainty of the judgment of the judiciary. The ambiguity of the criteria that
separates these punishments and exemptions causes a shrinking effect on freedom
of expression. Protecting honor and rights is important, but it can also be questioned
whether this should be achieved through criminal punishment. It is necessary to
seriously consider whether the defamation punishment reduces the functions of
democratic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government, which are essential in a
democratic societ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집1] 사회문제와 사회보장법 – 체계 사고를 중심으로 –
- [특집1] 사회보장과 헌법재판 - 주요 결정을 통해 본 의의와 과제 -
- [특집1] 복지국가 원리의 이념적 기초에 대한 고찰
- 평등권 침해 여부에 대한 심사 방법 - 2019헌가3, 공직자 재산등록 결정을 소재로 하여 -
- [특집2] 세계입헌주의와 인권보장체계
- 형법상 명예훼손죄에 대한 최근 헌법재판소 결정의 검토
- 영국의 이주구금에 대한 불복절차와 변호인의 조력
- [특집2] 포퓰리즘, 팬데믹과 전쟁의 시대에 국제법의 탈(脫)입헌주의를 반대하며
- [특집2] 세계입헌주의, 인권과 비례의 원칙: 소크라테스식 논쟁의 제도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