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ncounter between “Education” and “Kyo-yook” (敎育) in Modern Japan and Korea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 저자명
- 오성철(Seongcheol Oh)
- 간행물 정보
- 『교육사상연구』제39권 제1호, 89~11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서구에서 형성된 'education' 개념이 근대 동아시아의 시공간에서 번역어로서의 ‘교육’ 개념과 만나는 과정을 다루었다. 구체적으로 근대 이전 조선과 일본에서의 ‘교육’ 개념의 의미를 확인한 후, 근대에 접어들어 ‘education’ 개념이 언제 어떤 용어로 번역되었는지를 밝히기 위해 근대 시기 일본과 조선의 이중어 사전 내용의 변천 과정을 추적하였다. 근대 이전에 ‘교육’ 개념은 조선에서는 ‘인재양성’을 위한 군주의 통치 행위를 가리키는 말로 활용되는 등 오늘날과는 그 의미가 달랐으며, 일본에서는 그것이 사무라이의 학문적 수양 또는 서민의 도덕적 감화를 가리키는 신조어에 가까웠다. 근대에 접어들어 서구의 'education' 개념이 도입되면서 일본에서 1860년대 중반에 그 번역어로 ‘교육’ 개념이 등장하였으며 그 번역에 기반하여 1870년대 후반에 근대적 교육 개념이 형성되었다. 일본에서 형성된 ‘education’의 번역어로서의 근대적 ‘교육’ 개념은 조선으로 확산되어 갔다. 그 과정에서 전통적인 ‘교육’ 개념의 의미는 변용되거나 혹은 근대적인 의미와 병존하면서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Western concept of “education” aligned with the concept of “kyo-yook“ (敎育) as a translation in modern Japan and Korea. After confirming the meaning of “kyo-yook” (敎育) in Korea and Japan before the modern era, I traced the changes in the contents of foreign-language dictionaries in Japan and Korea during the modern era to reveal when and with what terms the concept of “education” was translated. Before the modern era, the concept of “kyo-yook” (敎育) had a different meaning. In Korea, it was used to refer to the monarch’s ruling act for “nurturing talent,” and in Japan, it was closer to a new word that appeared in the late Edo period referring to the academic training of samurai or the moral influence of common people. As the Western concept of “education” was introduced into modern times, the concept of “kyo-yook” (敎育) as its translation appeared in Japan in the mid-1860s, and the modern concept of education was developed in the late 1870s based on that translation. The modern Japanese concept of “kyo-yook” (敎育) as a translation of “education” spread to Korea. In the process, the meaning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kyo-yook” (敎育)’ has been transformed or has coexisted with modern meanings to the present day.
목차
Ⅰ. 서론
Ⅱ. 근대 이전 조선과 일본에서 ‘교육’의 의미
Ⅲ. 근대 일본과 조선에서 'education'과 ‘교육’의 만남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대안으로서 잘삶기반 교육과정과 그 의의
- 『이온』에 나타난 플라톤의 교육론
- 존 듀이 철학에 대한 실존주의적 해석과 교육적 시사
- 신유물론적 교육 연구의 현재
- 데리다의 관점에서 본 용서교육의 (불)가능성
- 압축적 개인화 시대의 불안: 80년대생 학부모와 90년대생 교사는 왜 충돌하는가?
-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 이론에 비추어 본 성품의 미덕
- 몬테소리의 『어린이의 비밀』에 나타난 유아교육의 방법적 원리에 대한 교육본질론적 이해
- 근대 일본과 조선에서의 ‘education’과 ‘교육’의 만남
- 조선후기 문과 역서(易書) 폐지 과정 연구(1) : 역서 제도 운영에 제기된 문제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ast Asian law studies Vol.2 No.3 Contents
- 博采众长:民国时期的比较婚姻法视域
- 新时代“枫桥经验”视域下民事案件诉前调解功能异化风险分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