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oretical Development and Thematic Evolution of Food Tourism Researc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 발행기관
- 융합관광콘텐츠학회
- 저자명
- 장경태(Kyung Tae Jang) 차성수(Seong Soo Cha)
- 간행물 정보
- 『융합관광콘텐츠연구』제11권 제2호, 155~16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PRISMA 방법론을 활용하여 음식 관광에 대한 주요 이론적 논의를 체계적으로 검토한다. 음식 관광에 대한 여러 문헌 검토가 존재하지만, 이 연구는 음식 관광 연구에서의 이론적 발전과 주제적 진화의 통합적 분석을 제공함으로써 연구 공백을 메우며, 특히 진정성, 관광객 경험, 지속 가능성 간의 상호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방법 Web of Science 및 Scopus 데이터베이스에서 2004 년부터 2021 년까지의 출판물을 포함해 총 15 편의 핵심 논문을 분석했으며, 2004 년 이후 출판된 100 회 이상의 인용을 받은 선구적인 작품도 포함했다. 선정 과정은 이론적 중요성과 음식 관광의 개념적 이해에 대한 기여도를 중점으로 엄격한 포함기준을 따랐다.
결과 이론적 논의 내에서 음식 관광의 다섯 가지 핵심 주제 영역을 식별했다: 음식 관광의 개념적 발전, 진정성의 재개념화, 관광객의 서사와 의미 형성, 지속 가능한 음식 관광, 디지털 시대의 음식 관광. 연구결과는 음식 관광이 단순한 요리적 즐거움을 넘어 문화적 몰입과 정체성 형성의 매개체로 기능함을 보여준다.
결론 이 연구는 시간에 따른 이론적 관점의 진화를 체계적으로 추적함으로써 음식 관광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켰다. 핵심 주제별 발전의 종합은 문화 교류, 정체성 형성, 지속 가능한 발전에 중요한 함의를 지닌 다차원적 현상으로 음식 관광을 이해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systematically reviews key theoretical discussions on food tourism using the PRISMA methodology. While several literature reviews exist on food tourism, this study addresses a research gap by providing an integrated analysis of theoretical developments and thematic evolution in food tourism research,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authenticity, tourist experiences, and sustainability.
Methods A total of 15 core papers were analyzed, including publications from 2004 to 2021 retrieved from Web of Science and Scopus databases, as well as seminal works published after 2004 with more than 100 citations. The selection process followed rigorous inclusion criteria focusing on theoretical significance and contribution to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food tourism.
Results The analysis identified five key thematic areas within theoretical discussions on food tourism: the conceptual development of food tourism, the reconceptualization of authenticity, tourist narratives and meaning-making, sustainable food tourism, and food tourism in the digital age. The findings revealed that food tourism functions beyond mere culinary indulgence as a medium for cultural immersion and identity formation.
Conclusion This study deepens the understanding of food tourism by systematically tracing the evolution of theoretical perspectives over time. The synthesis of key thematic developments offer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food tourism as a multidimensional phenomenon with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cultural exchange, identity form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목차
1. Introduction
2. Theoretical Background
3. Research Methods
4. Research findings
5. Implications
6. Conclus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억에 남는 관광 경험(Memorable Tourism Experiences : MTE)에 대한 국내외 연구동향 비교 고찰
- 유명인 광고모델에 대한 부정적 언론보도가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여행사의 잠재고객을 대상으로
- 지역 관광 개발 주체에 대한 지역주민의 환경 DSR 인식과 관광개발태도: 관광객과의 정서적 연대와 지역애착의 매개효과
- 음식 관광 연구의 이론적 발전과 주제별 진화: 체계적인 문헌 검토
- 언론보도 분석을 통한 열린관광지 활성화 방안 연구: 춘천의 사례를 중심으로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대한민국 문화도시와 관광 담론 연계: 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 융합관광콘텐츠연구 제11권 제2호 목차
- 창업가 역량과 기업가정신이 관광기업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창업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외국인 템플스테이 체험에 대한 국제포교사의 인식 연구
- 문화도시 지정 전후 담론 변화: 고창 치유문화도시를 중심으로
- 여행상품 라이브커머스 특성이 모방행동 및 충동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속시청의도의 매개효과
-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영화시나리오의 언어 분석과 문화관광 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K-콘텐츠를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 춘천 사례를 중심으로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관광자의 ESG인식이 행동의도 및 추가비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계획행동이론을 활용하여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