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택 전세제도 개선에 관한 소고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Jeonse System
- 발행기관
- 한국재산법학회
- 저자명
- 장보은(Boeun Chang)
- 간행물 정보
- 『재산법연구』第42卷 第1號, 211~23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민들의 주거 안정성 보호를 위해 주택 임대차에 관한 법제도 및 정책을 설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 사회에서는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전세제도가 널리 이용되고 있는바, 그 제도적 특징과 활용 배경 및 최근의 문제 상황을 충분히 이해하고 정책에 반영하여야만 실효성 있는 제도 구상이 될 것이다.
전세제도가 문제점이 있더라도 이를 인위적으로 없애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고, 반대로 막연히 전세가 월세보다 임차인에게 유리하다거나 우리의 전통적인 제도라는 점을 내세워 전세 자체를 부양하려는 것도 합리적이지 않다. 또한 전세제도가 사인들 간에 활용되는 것이 주를 이룬다는 점에서 모든 것을 규제하겠다는 접근보다는 주택 임대차에 관한 투명성을 강화함으로써 임대인과 임차인 사이의 정보 불균형을 줄이고, 임차인의 보호가 요구되는 지점을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전세보증금 반환의 담보를 위해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의 취득 시점을 조정하고, 주택 소유권이 이전되는 경우에도 임차인을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 보아야 한다. 주거 취약층의 보호에 집중하고 임대인의 예측가능성을 부여하며, 계약 당사자 간의 정보 비대칭을 줄이기 위해 거래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중개인의 의무를 강화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Designing legal and policy frameworks for residential leases is crucial to protecting the housing stability of citizens. Korea has widely adopted the jeonse system, a unique leasing arrangement rarely found in other countries. To establish effective policie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jeonse, its historical background, and recent challenges.
Given that the jeonse arrangement is primarily used between private individuals, an approach focused on enhancing transparency in rental transactions is more appropriate than excessive regulation. Such transparency can help reduce th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landlords and tenants while ensuring effective protection for tenants where necessary.
To secure jeonse deposit returns, adjusting the timing for acquiring priority repayment rights and tenancy protection rights is advisable. In order to improve housing stability, it is desirable to focus on protecting vulnerable housing groups and provide predictability to landlords. It is also meaningful to strengthen transparency regarding transactions and reinforce the obligations of brokers.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전세제도의 의의와 특징
Ⅲ. 시장의 변화와 법률의 대응
Ⅳ. 전세제도 관련 법 개선 방안 - 결론에 갈음하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산법연구 제42권 제1호 목차
- 딥페이크와 사생활 보호
- 독일의 국유재산 취득 및 매각에 관한 연구
- 디지털 유산의 민사법적 규율에 대한 연구 - 온라인상 디지털 정보의 유형에 따른 규율 및 인격적 디지털 정보에 대한 상속성을 중심으로
-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불법행위책임에 관한 중국법의 소개와 분석 - 최근 중국민법의 제·개정을 통한 한국법의 발전에 대한 제언
- 연구성과의 자산화 맥락에서 연구데이터 개념의 재구성 필요성 - 미국 Bayh-Dole Act의 지식재산 권리 규정의 시사점을 포함하여
- 주택 전세제도 개선에 관한 소고
- 공유경제의 사법적 법률관계 - 에어비앤비(Airbnb) 사례를 중심으로
- 가상자산 담보권 설정과 실행의 법적 한계와 개선 방안 - 통제(control) 개념을 중심으로 한 비교법적 고찰
- 상계에 관한 민법 개정 - 상계의 의사표시를 중심으로
- 민법 [계약법] 개정안(2025년)의 비교법적 특징과 주요 이슈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