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이돌 팬송 가사에 나타난 아이돌 그룹과 팬덤의 관계 형성 방식 연구
이용수 25
- 영문명
- A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ol and the Fandom in Idol Fan Song Lyrics
-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 저자명
- 박소영(So Young Bak) 유인선(In Seon Yu)
- 간행물 정보
- 『대중음악』통권 35호, 49~8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아이돌이 직접 작사한 팬송의 가사를 통해 아이돌이 팬덤과 어떻게 관계설정을 하고 있는지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팬송에 드러난 공통적인 정서와 표현 양식을 통해 아이돌이 팬덤을 어떤 존재로 규정하고 있으며 어떤 태도를 보이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동시에 이러한 팬송을 받아들이는 팬덤의 반응을 통해 팬송에 대한 팬덤의 공통감각을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아이돌은 팬송을 통해 팬덤과 자신을 우리라는 공동체로 묶고, 그들을 감사의 대상을 넘어 존재의 이유로 설정하고 있었다. 이는 팬덤이 아이돌 산업에서 미치는 큰 영향력을 아이돌도 자각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아이돌은 팬덤과의 연대감을 강조하고 그들의 사랑에 응답하기 위한 소통의 일환으로서 팬송을 활용한다. 팬덤은 팬송의 노랫말을 통해 팬송을 감각하며 가수의 메시지를 독해하고 맥락을 형성하며 팬송이라는 의미를 생성해내는 문화적 생산자가 된다. 팬송을 이해한다는 것은 아이돌 팬덤이라는 공동체에 자신이 위치하고 있음을 상징한다. 그래서 팬덤에게 팬송은 가수의 사랑을 확인하는 노래일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실존과 연관된 중요한 노래가 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idols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their fandoms through the lyrics of fan songs that the idols have written themselves. The aim of the research is to explore how idols define their fans and what kind of attitudes they express toward them, by examining the common emotions and linguistic patterns revealed in these fan songs. At the same time, the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fandom's shared sensibilities toward fan songs by observing their responses to them. The findings show that idols construct an identity not of “my fans” but of a collective “we” that includes both idols and fans. They position their fandom not just as recipients of gratitude but as the very reason for their existence. This suggests that idols are fully aware of the significant influence fandoms have within the idol industry. Consequently, they use fan songs as a means of communication to emphasize solidarity and reciprocate the fans’ affection. Fandoms, in turn, are cultural producers who engage with fan songs by interpreting lyrics, decoding the artists’ messages, and generating contextual meanings. For fans, understanding a fan song symbolizes their position within the idol fandom community. Therefore, fan songs are considered deeply meaningful and closely tied to the fans’ own sense of identity.
목차
1. 서론 : 아이돌과 팬덤 사이의 노래
2. 영원한 우리라는 환상
3. 팬덤, 수용자를 넘어 생산자로
4. 결론 : ‘우리’에 숨겨진 욕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 아이돌 팬송 가사에 나타난 아이돌 그룹과 팬덤의 관계 형성 방식 연구
- Labeling the Uncarved Sound : Derridean, Wittgensteinian, and Zhuangzi’s Perspectives on “Korean Music”
- 음악 장르 선호와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관계 연구 - 성별, 세대, 학력, 정치적 성향을 중심으로
- 장르화되는 시간, 박물화되는 소리 : 음악-문화 기호로서의 ‘7080’
- 로파이(Lo-Fi) 음악의 미학적 특성과 경향 - 불완전성의 미학과 디지털 시대의 음악적 수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