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빅데이터 융합 범죄예방 분석도구 ‘빅캣’의 개발과 적용

이용수  13

영문명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igCat'(Big data Integrated Crime Prevention Analysis Tool)
발행기관
한국셉테드학회
저자명
김윤(Youn Kim) 박미정(Mi Jeong Park) 임형진(Hyungjin Lim)
간행물 정보
『한국셉테드학회지』제16권 제1호, 7~2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빅데이터 융합 범죄예방 분석도구인 빅캣(Big data Integrated Crime Prevention Analysis Tool)의 개발, 활용, 성과를 정리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기존의 범죄예방 분석 시스템인 지오프로스(Geo-Pros)와 프리카스(Pre-CAS)에 비해 빅캣이 가진 장점(정보 접근성, 분석 편의성 등)을 해당 시스템들과 비교하면서 설명한다. 이어서, 빅캣 개발의 유래와 빅캣의 다양한 기능(범죄 및 112신고 데이터 시각화, 범죄 유형과 공공 데이터 교차분석 시각화, 침입범죄 군집분석 결과 시각화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이후, 다양한 빅캣의 성과(교육시간 단축, 탄력적 순찰 계획 수립 지원, 범죄 취약 지역 선정 지원 등)에 대해 언급한다. 마지막으로, 전처리와 업데이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내용을 빅캣의 한계로 언급하고 향후 필요한 노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주거침입 범죄 분석과 같이 다른 범죄 유형에도 머신러닝 분석 기능 추가로 빅캣의 예측 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2) 빅캣을 전국적으로 확산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예산 지원과 더불어 각 지역별 공공데이터의 통합 및 관리 체계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2) 빅캣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그 분석 결과를 활용한 선제적인 범죄예방 정책도 지속적으로 개발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study summarizes the development, utilization, and outcomes of the Big data Integrated Crime Prevention Analysis Tool, known as BigCat. First, it explains the advantages of BigCat (such as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ease of analysis) compared to existing crime prevention analysis systems, Geo-Pros and Pre-CAS. It then details the origins of BigCat's development and its various functions, including the visualization of crime and 112 emergency call data, cross-analysis visualization of crime types and public data, and visualization of burglary crime cluster analysis results. Following this, the study mentions various achievements of BigCat, such as reduced training time, support for flexible patrol planning, and assistance in identifying crime-prone areas. Finally, it addresses the limitations of BigCat, noting that preprocessing and updates require significant time and costs, and suggests the following necessary efforts for the future: (1) There is a need to enhance BigCat's predictive capabilities by adding machine learning analysis functions for other crime types, such as residential burglary analysis. (2) To expand BigCat nationwide,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stable budget support system along with the integration and management of public data in each region. (3)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BigCat, proactive crime prevention policies based on its analysis results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빅캣의 개발과 차별성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윤(Youn Kim),박미정(Mi Jeong Park),임형진(Hyungjin Lim). (2025).빅데이터 융합 범죄예방 분석도구 ‘빅캣’의 개발과 적용. 한국셉테드학회지, 16 (1), 7-26

MLA

김윤(Youn Kim),박미정(Mi Jeong Park),임형진(Hyungjin Lim). "빅데이터 융합 범죄예방 분석도구 ‘빅캣’의 개발과 적용." 한국셉테드학회지, 16.1(2025): 7-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