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아카이브 구축 및 활용을 통한 영어교육 수업 모형 개발 연구
이용수 18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English classroom instructional model through th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transmedia storytelling archive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전지현(Jihyun Jeon)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37권 1호, 221~24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utilizing a transmedia storytelling archive and to investigate its educational impact by examining changes in study motivation, interest, and self-confidence in English classe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model. Over a period of seven weeks, 28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English instruction incorporating the transmedia storytelling archive.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participated in interviews to assess the model’s effects.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data indicated an increase in study interest following the classes, although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in self-confidence. Regarding motivation, only the lower proficiency group demonstrated an increase in ideal L2 self, while ought-to L2 self showed no change. In contrast, for higher proficiency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either their ideal L2 self or ought-to L2 self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The interview results aligned with the questionnaire findings.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ill be discussed.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on English Education: Focus on Research Areas of Interest and Methodologies
-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English Education: A Comparative Study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a
- A Comparative Study of ChatGPT Feedback and Teacher Feedback in Middle School English Writing Classes
- EFL 학습자의 영어 발음 습득 분석: 영어 의문문의 초분절 발음 습득을 중심으로
- 대학 교양 토익 수업에서 ChatGPT 활용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 인식 분석: 학습자 활동분석을 중심으로
- An Eye-Tracking Study on the Impact of Pictures on English Collocation Learning in Young EFL Learners
-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book-based Oral Reading Fluency and L2 Reading Comprehension Among Korean EFL Learners
- AI-Automated EFL Writing Assessment Using Standardized Rubrics
- 영어 정체성과 영어 말하기 성과 간의 관계: 동기와 투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아카이브 구축 및 활용을 통한 영어교육 수업 모형 개발 연구
- 자기조절학습과 자기효능감이 영어 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