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English Education: A Comparative Study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a
이용수 5
- 영문명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Hayoung Kim Hyeseong Ahn Yunkyoung Cho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37권 1호, 77~9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research trends in English education under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a in South Korea, focusing on evolving prioritie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A total of 48 studies related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91 studies related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extracting 684 and 1,372 keywords, respectively, using NetMiner 4.4.8 and the Biblio Data Collector (BDC).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d communicative competence, learner-centered approaches, and cultural integration, with keywords like ‘activity’ and ‘culture’ reflecting its focus on practical English skills. Centrality analysis highlighted the pivotal role of learner engagement and collaboration in research themes. In contrast, the 2022 Revised Curriculum demonstrated a shift toward structured, competency-based learning, with keywords such as ‘competency’, ‘content’ and ‘achievement standards’ reflecting its focus on measurable outcomes and systematic instructional alignment. Topic modeling identified a thematic transition from cultural integration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in 2015 to instructional design and competency development in 2022. These findings reveal a shift from activity-based approaches to outcomeꠓdriven strategies, reflecting societal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s. The results provide insights into curriculum reforms and offer a foundation for enhancing English education to meet global and educational demands.
영문 초록
목차
Ⅰ. INTRODUCTION
Ⅱ. RELEVANT LITERATURE
Ⅲ. METHODOLOGY
Ⅳ. RESULTS
Ⅴ. CONCLU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on English Education: Focus on Research Areas of Interest and Methodologies
- 영어 정체성과 영어 말하기 성과 간의 관계: 동기와 투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An Eye-Tracking Study on the Impact of Pictures on English Collocation Learning in Young EFL Learners
- 자기조절학습과 자기효능감이 영어 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아카이브 구축 및 활용을 통한 영어교육 수업 모형 개발 연구
-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English Education: A Comparative Study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a
- A Comparative Study of ChatGPT Feedback and Teacher Feedback in Middle School English Writing Classes
- 대학 교양 토익 수업에서 ChatGPT 활용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 인식 분석: 학습자 활동분석을 중심으로
- AI-Automated EFL Writing Assessment Using Standardized Rubrics
-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book-based Oral Reading Fluency and L2 Reading Comprehension Among Korean EFL Learners
- EFL 학습자의 영어 발음 습득 분석: 영어 의문문의 초분절 발음 습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5호 목차
- 전공선택 학생과 미선택 학생의 특성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무전공 입학 대학생을 중심으로
- From Rule-Telling to Rule-Finding: Evaluating Guided Discovery Grammar Instruction in a Korean University EFL Contex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