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나노 캡슐화한 우르솔릭애씨드의 경표피흡수에 관한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Epidermal Penetration of Nano Capsulated Ursolic Acid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김인영(In-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제42권 제2호, 294~309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주름개선에 효능이 우수한 활성성분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난용성 성분 중하나인 ursolic acid (UA)의 용해를 쉽게 하고, 나노캡슐을 만들어 안정성을 높이고 경표피 흡수를 빠르게 하는 것이다. UA의 나노 캡슐(nano-UA60)을 위한 최적조건은 0.5 wt%의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HyL), 0.5 wt%의 불포화레시틴 (UsL), 0.5 wt%의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리소레시틴 (HyLL), 0.1 wt%의 피토스핑고신 (PhyS), 0.05 wt%의 세라아미드 엔피, 0.1 wt%의 콜레스테롤, 5.0 wt%의 BG, 5.0 wt%의 PG, 5.0 wt%의 DPG, 0.03 wt%의 수소첨가콜라겐 (HyC), 10.0 wt%의 에탄올, 72.22 wt%의 정제수에 1.0 wt%의 UA 혼합했을 때, 가장 파인한 나노캡슐을 얻을 수 있었다. Nano-UA60을만들기 위하여 사용된 microfluidizer의 최적조건은 시료의 통과온도 60℃, microfluidizer의 통과횟수 3 회, 반응 쳄버 통과압력 10,000 psi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Nano-UA60의 입자크기는 60.2±3.7 nm이었다. Microfluidizer에 3회 통과 시의 zeta potential이 -24.48±3.27 mV로 베지클이 안정하게 분산되어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Nano-UA60의 pH범위는 pH 6부터 9에서 가장 안정하였으나, 그밖에 산성과알칼리성 상태에서는 불안정하였다. 24시간 경과 시 Nano-UA60의 경표피의 침투량은 26.80 mg/cm2 침투되었으며, 피부두께를 0.7 mm로 가정하면 838.31μg/㎠가 피부에 침투가 가능하였다. 1μM에서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볼 때, 약 838.31 배의 활성이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Nano-UA60의 안정성은실온에서는 99.0%, 냉온에서는 102.1%, 가속조건에서는 97.8%, 가혹 조건에서는 97.8%가 검출되어, 비교군인 O/W 에멀젼의 57.9% 보다 안정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gredient that has excellent efficacy in improving wrinkles. It facilitates the dissolution of ursolic acid (UA), one of the insoluble components, increases stability by making nanocapsules, and accelerates skin absorption. The optimal conditions for nano-UA60 of UA were 0.5 wt% of hydrogenated lecithin (HyL), 0.5 wt% of unsaturated lecithin (UsL), 0.5 wt% of hydrogenated lysorecithin (HyLL), 0.1 wt% of phytosphingosin (PhyS), 0.05 wt% of seramide ENP, 0.1 wt% of cholesterol, 5.0 wt% of BG, 5.0 wt% of PG, 5.0 wt% of DPG, 0.03 wt% of hydrogenated collagen (HyC), 10.0 wt% of ethanol, and 1.0 wt% of UA mixed with 72.22 wt% of purified water, the finest nanocapsules could be obtained. The optimum conditions of the microfluidizer used to make Nano-UA60 were the best at the sample passage temperature of 60°C, the number of microfluidizer passage times of 3 times, and reaction chamber passage pressure of 10,000 psi. The particle size of Nano-UA60 was 60.2 ± 3.7 nm. It was confirmed that the vesicle was stably dispersed at -24.48±3.27 mV when passing through the Microfluidizer three times. The pH range of Nano-UA60 was most stable at pH 6 to 9, but was also unstable under acidic and alkaline conditions. The penetration amount of the transdermal epithelium of Nano-UA60 at 24 hours was 26.80 mg/cm2, and 838.31μg/㎠ could penetrate the skin assuming a skin thickness of 0.7 mm. Considering that it exerts its efficacy at 1 μM, it is expected to have about 838.31 times the activity.The stability of Nano-UA60 was 99.0% at room temperature, 102.1% at cold temperatures, 97.8% at acceleration conditions, and 97.8% at harsh conditions, which were more stable than 57.9% of the comparative O/W emulsion.
목차
1. 서 론
2. 실험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nzymatic Hydrolysis of Lysozyme and Characterization of Antibacterial Peptides
- 중심극한정리와 t-검정을 적용한 매립장 표면발산 측정의 적정성 평가
- Hesperidin과 quercetin의 복합처리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미치는 영향
- 섬유근통 환자의 통증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 Dynamic Stiffness Hydrogels for Tailored Drug Delivery
- 나노 캡슐화한 우르솔릭애씨드의 경표피흡수에 관한 연구
- An Analysis on factors reinforcing regional branding of Yangpyeong Yongmunsan Wild Greens Festival
- Ultrasensitive Humidity Sensor using Metal-Organic Framework Synthesized by Hydrothermal Reaction
- 포포나무 종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화장품 제형 내 안정성 연구
- Evaluation of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Nicotinamide Mononucleotide (NMN) for Cosmetic Applications
- 스포츠 산업의 블록체인 기술 적용과 향후 방향성
- K-뷰티 브랜드의 CSR 활동 동기와 속성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중 소비자 모형 탐색을 중심으로
- 잉카피넛씨 오일의 손상된 모발 개선 효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DIY Cosmetic Manufacturing Experience Characteristics on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성인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영향요인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Glycyrrhiza glabra L. 유래 Glabridin의 피부 및 미용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백 스쿼트 시 가변저항이 스티킹 포인트에 미치는 영향
- 골프 레슨자가 인식한 레슨프로의 코칭 행동이 레슨만족 및 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