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폐스펙트럼 여성의 신경다양성에 대한 존재론적 이해
이용수 17
- 영문명
- An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Neurodiversity in Women on the Autism Spectrum
- 발행기관
- 한국자폐학회
- 저자명
- 이원희(Weon-hee Lee)
- 간행물 정보
-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25권 제1호, 1~3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폐스펙트럼 여성은 자신의 특성을 숨기거나 위장하는 능력이 발달하여 남성과는 다른 독특한 존재방식을 드러낸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폐스펙트럼 여성의 신경다양성을 존재론적으로 해석하여 참여자의 실존과 존재방식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인기까지 진단을 받지 않은 자폐스펙트럼 여성과 그 어머니를 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 연구 맥락에서 접근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먼저, 진단받지 않은 자폐스펙트럼 여성은 신경다양인과 신경전형인의 경계에서 비본래적 존재로 실존하고 있었다. 참여자가 본래적 존재로 실존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자폐스펙트럼 특성을 신경다양성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다음으로, 자폐스펙트럼 여성은 공동체 내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자신의 고유한 본질을 은폐하여 존재론적 소외와 불안을 경험하고 있었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세계-내-존재’이자 ‘현-존재’이므로, 존재론적 차이로 나타나는 신경다양인의 존재방식을 존중하는 것이 존재론에서 주장하는 진리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신경다양성과 존재론은 이 세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유형의 존재를 인정하고 그들의 고유한 존재방식을 존중하는 사회 문화를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Women on the autism spectrum are frequently able to hide or camouflage their traits, creating a unique mode of being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autistic men. To understand the existential and their mode of being aspects of life for participants by ontologically interpreting the neurodiversity among women on the autism spectrum, woman on the autism spectrum who were not diagnosed until adulthood and her mother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nd studied in a qualitative research context. This study revealed that undiagnosed women on the autism spectrum projected an inauthentic persona on the border between neurodiverse and neurotypical people. Their quality of life indicates that individuals must accept their autism spectrum characteristics as neurodiversity to experience an authentic existence. Autistic spectrum women who conceal their unique essence in social relationships within their communities experience ontological alienation and anxiety. Their experience suggests that humans are inherently adapted to ‘being-in-the-world’, and ‘Dasein’ is a truth asserted by ontology demanding honor for the individualities of neurodiverse people that manifest as ontological differences. Neurodiversity and ontology can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social culture that recognizes the different types of beings that exist in the world and respects their unique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자폐스펙트럼 여성의 실존을 통한 자기이해
Ⅳ. 자폐스펙트럼 여성의 존재방식에 대한 이해
Ⅴ. 나가기: 존재의 인정과 존재방식의 확장으로서 신경다양성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정신장애인 지역사회전환시설의 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 성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청년의 사회활동 참여가 미래계획 수립에 미치는 영향: 자립 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