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머신러닝을 활용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얼굴영상 분석 파일럿 연구
이용수 26
- 영문명
- Comparative Pilot Analysis of Facial Video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Using Machine-Learning Methods
- 발행기관
- 한국자폐학회
- 저자명
- 김두연(Doo Yon Kim) 조대현(Daehyun Cho) 배재형(Jaehyoung Bae) 임강수(Kangsoo Lim) Christian Wallraven
- 간행물 정보
-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25권 제1호, 129~14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아동과 대조군의 얼굴 동영상을 머신러닝 기술로 분류하고, 이를 통해 얼굴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ASD에 대한 이해와 극복방안 마련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는 세가지 얼굴 인식 기술을 활용하였으며, 전통적인 랜드마크와 액션 유닛(Action Units), 그리고 상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데이터를 처리하였다. 초기 소규모 표본 연구결과, 머신러닝 분류 모델은 ASD 아동과 대조군의 얼굴에서 특정 패턴과 특성이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액션 유닛을 활용한 분류 모델이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다. 이는 ASD 아동의 표정과 얼굴 움직임이 유의미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 결과는 ASD 아동과의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연구에서 액션 유닛 기반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향후 진단 및 치료 지원 기술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pilot study aims to classify facial video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nd a control group using machine-learning techniques and to analyze facial characteristics to enhance understanding regarding ASD and develop strategies for its intervention. Three facial-recognition techniques are employed: the classical landmark-based analysis, action units(AUs), and commercial software-based processing. The results based on an initial, small sample indicate that an AI classification model successfully identified distinct patterns and features in the facial expressions of children with ASD and the control group, with the AU-based classification model demonstrating the best perform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facial expressions and movements of children with ASD contain meaningful information. Finally, this study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AU-based analysis in investigations on ASD-related social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and therapeutic support technolog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기수용 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개념 형성과 확장 :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 성격 이론에 기초한 접근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