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수레 구비설화>에 나타난 고수레 분식의 풍요 신앙 및 그 의례적 성격과 지모신화와의 관련성 고찰
이용수 8
- 영문명
- The Rich Faith-ritualistic Nature of the of Gosure Food-sharing and the Mythical Meaning of the God of Earth of Female-gendered Gosure in
- 발행기관
- 숙명인문학연구소
- 저자명
- 권도경(Do Kyung Kwon)
- 간행물 정보
- 『횡단인문학』제19호, 129~16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수레 구비설화> 각편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여성 성별계 고수레 분식 신앙 관련 유형 텍스트를 대상으로 하여 고수레 분식의 풍요 신앙 의례적 성격과 지모신화적 의미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고수레 구비설화>의 고수레 분식 신앙관련 유형에서는 분식객체 고수레에 대한 고수레 분식을 통해 이기적 기망을 실현할 수있다는 특정 지역민의 믿음이 집단적・정례적인 신앙적 형태로 서사 내용에 명확히 형상화 되어 있는 바, 집단적・정례적 고수레 분식을 매개로 분식객체 고수레가 특정 지역민에게 충족시켜주는 다기한 이기적 기망은 궁극적으로 풍요로 수렴된다. <고수레 구비설화> 의 고수레 분식 신앙 관련 유형에서 확인되는 분식객체 고수레의 주된 성별 대상이 여성이라는 사실을 고려해 볼 때 <고수레 구비설화>의 주류를 구성하고 있는 고수레 분식 신앙 관련 유형 텍스트의 고수레 분식 신앙 의례는 풍요의 여성 신성성과 관계된 일종의 풍요 신앙 의례라고 볼 수 있다. <고수레 구비설화>의 여성 성별계 신앙 관련 유형 텍스트에서 특정 지역민이 제공한 집단적・정례적 고수레 분식에 대응하여 풍요를 환류함으로써일종의 풍요 신앙 대상으로 존재하고 있는 분식객체 고수레의 성별이 여성으로 형상화 되어 있다는 것은 고수레 분식을 매개로 특정 지역에 풍요를 제공하는 분식객체 고수레의여성성이 사소·알영에서 확인되는 풍요 산출의 한국지모신적 계보 내부에 위치해 있음을 말해준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itual character of the rich faith of the Gosu-re food-sharing and the mythical meaning of the god of earth of female-gendered Gosure in .
The Gosure food-sharing faith ritual of tangible texts related to Gosure food-sharing faith which is the mainstream of , can be said to be a kind of rich faith ritual related to the female divinity of richness. This is the cas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main gender target of the food-sharing object Gosure, which is identified in the type of related to Gosure food-sharing faith in , appears to be women. The fact that the gender of food-sharing object Gosure which exists as a kind of rich belief object by returning abundance in response to the collective and regular Gosure food-sharing provided by certain local people in the text of the type of women's gender faith in , is represented as a woman can be said that the femininity of food-sharing object Gosure that provides abundance to a specific area through Gosure food-sharing, is located within the Korean Earth Goddess's genealogy of abundance output found in Soso and Alyoung.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고수레 구비설화에 나타난 고수레 분식의 풍요 의례적 성격과 고수레 분식 객체의 대상 성별
3. 고수레 구비설화에 나타난 고수레 분식 대상의 성별성과 풍요 및 신성성을 지닌 지모신화와의 관련성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