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불평등한 기후위기와 이동의 서사
이용수 17
- 영문명
- Unequal Climate Crisis and the Narratives of Mobility
- 발행기관
- 숙명인문학연구소
- 저자명
- 이행미(Haeng-mi Lee)
- 간행물 정보
- 『횡단인문학』제19호, 47~7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최근 한국문학에서 기후위기의 불평등 문제를 난민 서사와 이동의 정치 차원에서 분석하고자 했다. 기후난민은 환경적 요인뿐만 아니라, 전 지구적으로 만연한 구조적불평등 속에서 더욱 취약한 존재로 형성된다. 이 글은 생태적 위기 속에서 발생한 이동성(mobility)의 문제를 중심으로 난민의 서사를 분석하고, 기후불평등이 다양한 차원에서교차하며 발생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서 기후난민의 형상이 비극적 피해자로만 머무르지 않고, 개인의 목소리와 구체적 삶을 통해 지배적 담론을 해체하고 새로운 연대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존재로 형상화되고 있음에 주목했다.
이 글에서 분석한 소설들은 기후위기의 불평등을 비판적으로 형상화하는 동시에, 이에대응하는 주체들의 실천적 노력을 보여준다. 불평등한 세계를 넘어서려는 이들의 시도는새로운 사회적 관계뿐만 아니라 생태적 환경과 공존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확장된다. 기후위기를 다루는 문학적 상상력은 과학적 데이터가 포착하지 못하는 현실을 조명하며, 불평등한 세계 속에서 개인의 삶과 목소리를 통해 연대와 공동체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중요한실천으로 자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issue of climate crisis-induced inequality through the lens of refugee narratives and the politics of mobility in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Climate refugees emerge as particularly vulnerable not only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but also within the context of widespread structural inequalities across the globe. Focusing on the problem of mobility arising from ecological crises, this study examines how climate inequality intersects across multiple dimensions. It highlights how climate refugees are not merely portrayed as tragic victims but as individuals who challenge dominant discourses and explore new possibilities for solidarity through their voices and lived experiences.
The novels analyzed in this study critically depict the inequalities of the climate crisis while also illustrating the practical efforts of those who resist such disparities. Their attempts to transcend an unequal world extend beyond forming new social relationships to embracing coexistence with ecological environments. The literary imagination surrounding the climate crisis sheds light on realities that scientific data often overlook, positioning itself as a vital practice for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solidarity and community through individual lives and voices in an unequal world.
목차
1. 들어가며: 기후위기를 서사화한다는 것
2. 떠밀린 존재들, 이동과 정주의 식민화에 맞서는 윤리적 응답
3. 이동의 정치와 공존, 기후난민의 연대적 실천
4. 나가며: 기후불평등의 현실과 개인의 서사가 만나는 곳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