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국 경기국면의 Markov Switching 추정과 한국 경제에 대한 전염 효과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Contagion Effects of U.S. Business Cycle Regimes on the Korean Economy
발행기관
글로벌경영학회
저자명
김태석(Tae Seog Kim)
간행물 정보
『글로벌경영학회지』제22권 제2호, 207~23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국의 주요 거시경제 변수들을 기반으로 추정한 경기국면 전이확률이 한국의 실물경제 및 금융시장에 미치는 전염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 분석을 위한 연구 모형 및 분석 데이터는 Markov Switching VAR 모형을 활용하여 미국 경기의 상태(State)를 내생적으로 식별하고, 해당 상태확률을 외생 변수로 설정하여 한국의 산업생산, 소비자물가, 실업률, 기준금리, KOSPI 수익률에 대한 반응을 Markov Switching 회귀모형 및 구조적 VAR 모형을 통해 동태적으로 추정하였다. 분석 기간은 2000년 1월부터 2023년12월 말까지의 월간 및 분기별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의 실업률, 산업생산, 주가지수는 미국 경기 전이에 높은 민감도를 보였으며, 금리와 물가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염성을 나타냈다. 특히 KOSPI는 금융시장 기대의 선행지표로서 과잉 반응을 보이는 특성이 확인되었으며, 실업률은 시차를 두고 구조적으로 반응하는 후행적 속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SVAR 분석을 통해 실물-금융-정책 변수 간의 충격 전이경로와 시차 구조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공헌도는 비선형 국면 전이 및 전염경로를 계량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실물-금융 연계성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였으며, 이는 글로벌 충격 대응 및 정책 설계에 기여할 수 있다. 다만, 내생성 반영 부족과 변수 식별 순서 고정 등 해석상의 제약이 존재하며, 향후 G-VAR 및 금융불안정성 지표를 활용한 확장 분석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spillover effects of U.S. business cycle regime transitions on Korea’s real economy and financial markets. Using a Markov Switching Vector Autoregression (MS-VAR) model, U.S. economic regimes—expansion and recession—are identified endogenously, and the resulting regime-switching probabilities are introduced as exogenous variables into Markov Switching Regression and Structural VAR (SVAR) models. These models are used to evaluate the dynamic responses of key Korean macroeconomic indicators, including industrial production, consumer prices, unemployment, the policy interest rate, and KOSPI returns. Based on monthly data from 2000 to 2023,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Korea’s unemployment, industrial production, and stock market returns exhibit strong sensitivity to U.S. regime shifts, whereas interest rates and consumer prices show relatively weaker transmission. Notably, the KOSPI displays excessive and leading reactions to U.S. financial shocks, while unemployment responds with structural lags. The SVAR analysis further confirms a sequential transmission path from real activity to financial markets and monetary policy, with regime-dependent dynamic effects. This study contributes by empirically identifying nonlinear regime shifts and spillover structures between the U.S. and Korean economies, offering implications for macroeconomic forecasting and crisis response. However, limitations remain in addressing endogeneity and fixed identification ordering. Future research could expand the analysis using GVAR models and incorporate financial instability indices to better capture global systemic risk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 모형 및 선행연구
Ⅲ. 연구 모형
Ⅳ. 실증 분석 결과 및 해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태석(Tae Seog Kim). (2025).미국 경기국면의 Markov Switching 추정과 한국 경제에 대한 전염 효과 분석. 글로벌경영학회지, 22 (2), 207-236

MLA

김태석(Tae Seog Kim). "미국 경기국면의 Markov Switching 추정과 한국 경제에 대한 전염 효과 분석." 글로벌경영학회지, 22.2(2025): 207-2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