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언행동이 직무권태에 미치는 영향: 직무도전성의 매개효과와 조절초점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Voice Behavior on Job Boredom: The Mediating Role of Job Challenge and the Moderating Role of Regulatory Focus Organizational Culture
- 발행기관
- 글로벌경영학회
- 저자명
- 오문환(Moon Hwan Oh) 박은지(Eun Ji Park) 박지환(Ji Hwan Park)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경영학회지』제22권 제2호, 160~192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언행동이 직무권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직무도전성의 매개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직무도전성과 직무권태 간의 관계에서 조절초점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실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는 직장인들 298명을 대상으로 구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조직구성원의 발언행동은 직무권태와 부(-)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도전성은 발언행동과 직무권태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조절효과 분석 결과, 직무도전성과 직무권태 간의 관계에서 예방초점 조직문화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향상초점 조직문화는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직무도전성이 직무권태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향상초점 조직문화가 높은 경우, 이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무권태를 완화시키는 선행요인에 대해서 파악하여, 직무권태 연구의 지식을 확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권태, 발언행동, 직무도전성, 조절초점 조직문화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관계를 검증하고 이론적, 실무적 함의 및 한계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voice behavior and job boredom,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mediating role of job challenge. Furthermore, it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regulatory focus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llenge and job boredom.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using Google Forms from 298 employees working in various companies. The results reveal that employees' voice behavior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job boredom. Moreover, job challeng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voice behavior and job boredom. In terms of moderating effects, promotion-focused organizational culture was found to strengthen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llenge and job boredom, whereas prevention-focused culture showed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This study expands the existing knowledge on job boredom by identifying its antecedents based on a sample of diverse employees experiencing job boredom. It also explor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job boredom, voice behavior, job challenge, and regulatory focus organizational culture, and discuss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글로벌경영학회지 제22권 제2호 목차
- 도시방범 CCTV 최적 설치를 위한 휴리스틱 접근 - 범죄 예방과 대응력의 극대화
- 신흥국 외환시장의 공통 변동성과 무역정책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intention to use community group buying platforms
- 혁신 유형별 제품다각화 전략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의 자원 제약을 고려한 동적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구성 연구
- 미국 경기국면의 Markov Switching 추정과 한국 경제에 대한 전염 효과 분석
- IT 기업의 공유리더십이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팀 신뢰와 지식 공유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발언행동이 직무권태에 미치는 영향: 직무도전성의 매개효과와 조절초점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 기부와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글로벌경영학회지 제22권 제2호 목차
- 도시방범 CCTV 최적 설치를 위한 휴리스틱 접근 - 범죄 예방과 대응력의 극대화
- 신흥국 외환시장의 공통 변동성과 무역정책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