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혁신 유형별 제품다각화 전략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Innovation-Type-Based Product Diversification Strategies on Corporate Performance
- 발행기관
- 글로벌경영학회
- 저자명
- 오춘호(Choon Ho Oh)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경영학회지』제22권 제2호, 105~1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혁신 유형과 제품 다각화 전략 간의 상호작용이 기업의 시장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8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혁신조사(2018)를 통해 수집된 1,246개 기업의 패널 데이터를 나이스신용평가의 재무정보와 연계하여 분석하였으며, 아렐라노-본드(Arellano-Bond) 동태 패널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신제품을 통해 신시장을 개척하는 기업의 경우, 제품 다각화 전략이 매출 성장과 영업이익률 향상에 있어 유의미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다른 형태의 기업 혁신을 추진한 기업들이 추구하는 다각화 전략은 경영 성과 측면에서 별다른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혁신의 유형에 따라 제품 다각화 전략의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며, 기업이 제품 다각화를 추진할 때 혁신의 특성과 전략적 정합성을 면밀히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유형별 혁신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품 다각화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기업들의 효과적인 성장 전략 수립에 실증적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학술적 및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how different types of innovation interact with product diversification strategies to affect firm performance. Utilizing panel data from 1,246 Korean firms gathered through the 2018 Korea Innovation Survey and linked with financial data from NICE Credit Information Service (2018-2023), the analysis applies the Arellano-Bond dynamic panel model to explore performance outcomes in terms of revenue growth and operating profit margin.
The findings reveal that firms introducing new products for new markets—typically considered the most uncertain innovation strategy—benefit significantly when this approach is coupled with product diversification. In particular, these firms demonstrate higher revenue growth and improved profitability. In contrast, firms focusing on improving existing products for current markets showed no significant impact from their diversification efforts, suggesting a neutral relationship between their innovation type and diversification strategy.
These results are notable because they challenge earlier findings that often reported limited or insignificant performance outcomes for firms targeting both new products and new markets. When diversification is incorporated strategically, however, such innovation approaches can generate tangible gains. This supports the relevance of Ansoff’s original proposition that diversification, though risky, can be a powerful driver of growth when appropriately aligned with innovation dynamics.
The study offers important implications across firm sizes and industries. While large firms may possess greater resources to manage diversification risk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can also benefit from aligning innovation strategies with market expansion. A more granular analysis by firm size and sector would further enrich understanding, especially in Korea’s high-tech industries where innovation and diversification increasingly serve as key levers of competitiveness.
By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on how innovation types and diversification strategies jointly affect firm outcome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both innovation and strategic management literature. It emphasizes that innovation alone does not guarantee success—its effectiveness depends on how well it is integrated with broader corporate strategies such as product diversific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underscores the strategic value of tailoring diversification approaches to the nature of innovation pursued. For Korean firms navigating turbulent and competitive markets, leveraging innovation-driven diversification emerges as a viable pathway to sustainable growth and performance improv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가설 설정
Ⅲ. 연구 방법 설정
Ⅳ. 실증 분석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글로벌경영학회지 제22권 제2호 목차
- 도시방범 CCTV 최적 설치를 위한 휴리스틱 접근 - 범죄 예방과 대응력의 극대화
- 신흥국 외환시장의 공통 변동성과 무역정책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intention to use community group buying platforms
- 혁신 유형별 제품다각화 전략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의 자원 제약을 고려한 동적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구성 연구
- 미국 경기국면의 Markov Switching 추정과 한국 경제에 대한 전염 효과 분석
- IT 기업의 공유리더십이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팀 신뢰와 지식 공유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발언행동이 직무권태에 미치는 영향: 직무도전성의 매개효과와 조절초점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 기부와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글로벌경영학회지 제22권 제2호 목차
- 도시방범 CCTV 최적 설치를 위한 휴리스틱 접근 - 범죄 예방과 대응력의 극대화
- 신흥국 외환시장의 공통 변동성과 무역정책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