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흥국 외환시장의 공통 변동성과 무역정책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15
- 영문명
- Connectedness between Common Volatility of Foreign Exchange Markets and Trade Policy Uncertainty
- 발행기관
- 글로벌경영학회
- 저자명
- 윤병조(Byung Jo Yoon)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경영학회지』제22권 제2호, 59~7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15년 1월 2일부터 2024년 12월 30일까지, 7개 신흥국(브라질, 멕시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한국) 외환시장에서 형성되는 공통 변동성과 무역정책 불확실성(TPU) 지수를 대상으로 변동성 전이지수(spillover index)에 기초한 연결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표본기간동안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대통령 선거, 미국 무역정책, 코로나19 팬데믹 등이 신흥국 외환시장에 공통적인 충격을 유발했지만 공통 변동성에 대한 신흥국 환율의 반응정도는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흥국 외환시장과 TPU 간 총 연결성은 19%로 추정되었고, 개별 국가차원에서 신흥국의 환율 변동성이 TPU에 미치는 영향이 반대의 경우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공통 변동성에 대한 TPU의 기여도는 2.7%, TPU에 대한 공통 변동성의 기여도는 0.7%로 추정되어, 공통 변동성에 대한 TPU의 유출 연계성이 유입 연계성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경제정책 불확실성(EPU)을 고려한 경우에도 동일한 결과가 유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무역정책 불확실성의 패턴이 신흥국 통화를 거래하는 다국적 기업에게 중요한 정보이며, 외환시장을 예측하고, 리스크 전략을 마련하는데 필수 요소임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stimated the connectedness between the trade policy uncertainty(TPU) index and the common volatility of the foreign exchange markets of seven emerging countries (Brazil, Mexico, Indonesia, Malaysia, the Philippines, Thailand, and Korea) from January 2, 2015 to December 30, 2024.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during the sample period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U.S. election, U.S. trade policy, and the COVID-19 pandemic have caused a common shock to emerging economies' foreign exchange markets, the magnitude of the response of emerging economies' exchange rates to common volatility is different. Second, the connectedness between the emerging foreign exchange market and the TPU was estimated to be 19%, and the impact of exchange rate volatility in emerging countries on the TPU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the opposite. Third, the contribution of TPU to common volatility was estimated to be 2.7%, and the contribution of common volatility to TPU was estimated to be 0.7%, indicating that the outflow of spillovers of TPU to common volatility was greater than the inflow spillovers and the same results were maintained whe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EPU) was included.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글로벌경영학회지 제22권 제2호 목차
- 도시방범 CCTV 최적 설치를 위한 휴리스틱 접근 - 범죄 예방과 대응력의 극대화
- 신흥국 외환시장의 공통 변동성과 무역정책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intention to use community group buying platforms
- 혁신 유형별 제품다각화 전략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의 자원 제약을 고려한 동적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구성 연구
- 미국 경기국면의 Markov Switching 추정과 한국 경제에 대한 전염 효과 분석
- IT 기업의 공유리더십이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팀 신뢰와 지식 공유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발언행동이 직무권태에 미치는 영향: 직무도전성의 매개효과와 조절초점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 기부와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