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공간 특성을 고려한 대기오염물질배출량과 천식의 핫스팟 지역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Air Pollution Emission and Asthma Hotspots Considering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발행기관
한국방재학회
저자명
임유라(Yu-ra Lim) 배현주(Hyun-Joo Bae)
간행물 정보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2호, 153~164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환경과 건강을 균형있게 고려하여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이루기 위한 중요한 역량으로 대기오염과 건강영향의 지역적 분포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5년간(2015~2019년) 전국 시군구(250개)를 대상으로 대기오염물질배출량과 천식의 공간 특성과 시공간 특성을 고려한 핫스팟 지역을 파악하였다. Hotspot Analysis Comparison을 이용한 대기오염물질배출량-천식 유병률의 공간 핫스팟지역 탐색에서 충남 일부 시군구는 5년간 지속적으로 대기오염물질배출량과 천식 유병률이 공간적으로 높은 값을 띄며 군집해 있는 핫스팟 지역으로 탐색되었다. 시공간 특성을 고려한 핫스팟 지역 탐색을 위해 SaTScan을 이용한 결과 클러스터 1에 포함된 충남지역은 대기오염물질배출량 구간에 따라 배출량 하위 25%보다 상위 25%에서 천식 상대위험비(2.64)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전국의 평균 대기오염물질배출량과 천식 유병률이 감소추세 이지만 일부 지역은 대기오염물질배출량과 천식 유병률이 다른 지역보다 지속적으로 높은 핫스팟 지역으로 나타났다. 환경유해인자와 건강영향 인자를 고려하여 핫스팟 지역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은 한정된 재원과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또한 지역 단위의 환경보건 모니터링과 집중 관리가 필요한 지역에서 본 연구결과가 과학적인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It is necessary to propose a method to identify the region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ion and its health impacts as an important capacity to achieve an inclusive and sustainable community by considering the environment and health in a balanced manner. In this study, hotspot areas were identified by considering the spatial and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ant emissions and asthma in 250 cities over a period of 5 years (2015-2019). In the search for spatial hotspot areas of air pollutant emissions and asthma prevalence using Hotspot Analysis Comparison, some cities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were found to be hotspot areas where air pollutant emissions and asthma prevalence were clustered together and showed high spatial values for five years. The SaTScan search for hotspot areas considering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indicated that the Chungnam region included in Cluster 1 had the highest asthma relative risk ratio (2.64) in the top 25% of air pollutant emissions compared with the bottom 25%,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lthough the national averages of air pollutant emissions and asthma prevalence rates are decreasing, some regions have emerged as hotspots where air pollutant emissions and asthma prevalence rates are consistently higher than those in other regions. Identifying and managing hotspot areas by considering environmental hazards and health-impact factors is one way to efficiently utilize limited resources and manpower. Additio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scientific evidence in areas where regional environmental health monitoring and intensive management are required.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유라(Yu-ra Lim),배현주(Hyun-Joo Bae). (2025).시공간 특성을 고려한 대기오염물질배출량과 천식의 핫스팟 지역 분석.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 (2), 153-164

MLA

임유라(Yu-ra Lim),배현주(Hyun-Joo Bae). "시공간 특성을 고려한 대기오염물질배출량과 천식의 핫스팟 지역 분석."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2(2025): 153-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