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isk Assessment for Compound Disaster Events of Hot-Drought and Hot-Humid in Shandong, China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Quan Feng Hung Soo Kim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2호, 33~4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IPCC는 기후 위험도 평가(Climate Risk Assessment, CRA)를 위해 여러 방법론을 통합하여 위험성, 노출성, 취약성을 평가하는 포괄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고 있다. 기후위험도 평가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 복합재난이 사회·경제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개별 재난의 위험을 단순히 더한 것 보다도 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온-가뭄 및 고온-습윤 복합재난에 대한 기후 위험도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atmospheric reanalysis dataset (ERA5)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하였다. 즉, 중국 산둥성 내 16개 도시에 대한 강수량, 기온, 습도 자료들을 이용하였고, 분석을 수행한 결과, 1979년부터 2019년까지 고온-가뭄 복합재난의 발생 빈도는 변동성을 보인 반면, 고온-습윤 복합재난은 뚜렷한 증가 추세가 나타났다. 특히, 2010-2019년 동안 산둥성 전역에서 발생한 고온-습윤 복합재난의 빈도는 1979-1989년 대비 77%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위험도 평가를 위해 두 가지 복합재난 유형의 지표를 포함하여 취약성, 노출성, 대응 역량에 대해 총 13개의 지표를 선정하였다. CRA framework를 활용하여 지표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고자 엔트로피 가중치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해당 지역의 여름철 복합재난에 대한 체계적인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산둥성 내 16개 도시에 대한 복합재난의 위험도를 순위화함으로써, 지방 정부가 보다 효과적으로 위험을 식별하고 재해 예방 및 완화 전략을 강화하는 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climate risk assessment (CRA)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provides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evaluating hazards, exposure, and vulnerability by integrating multiple methodologies. Previous research demonstrated that the impact of compound disasters on socioeconomic activities extends beyond a mere aggregation of individual hazard effects.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climate risk assessment for compound disaster events of hot-drought and hot-humid and employ an atmospheric reanalysis dataset (ERA5) to obtain precipita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across 16 cities in Shandong Province, China. The findings revealed that between 1979 and 2019, the frequency of hot and drought compound events fluctuated, whereas the occurrence of hot and humid compound events displayed a significant increasing trend. Specifically, the frequency of hot and humid compound events across Shandong Province from 2010 to 2019 was 77% higher than that observed from 1979 to 1989. We identified 12 vulnerability, exposure, and capacity indicators, including two compound hazard events. Using the CRA framework, this study applied the entropy method to evaluate the weight factors of the indicators in risk assessment, enabling a systematic risk assessment of summer compound events in the region. The results offer a ranking of urban compound disaster risks for 16 cities and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local governments to enhance risk identification efficiency and strengthen disaster prevention and mitigation strategies.
목차
1. Introduction
2. Study Area and Data Resources
3. Methodology
4. Results and Discussion
5.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권 2호 목차
- 인공지능 안면 영상 분석 기반 생체 신호 측정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작업자 건강 상태 모니터링 현장 적용 가능성 검증
- Comparative Analysis of Risk Factor Weighting GBDT Methods for Enhancing the Accuracy of Flood Risk Assessment
- Risk Assessment for Compound Disaster Events of Hot-Drought and Hot-Humid in Shandong, China
- 공간회귀분석을 활용한 재난회복력과 재난피해액 간 영향분석
- 지진 재난에 따른 화재, 피난, 구조 위험도 평가지표 도출에 대한 연구
- 화재현장 배연전술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산악 철도 매립형 궤도의 구성 요소 간 접합면 특성이 궤도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섬진강 유역 다목적댐 운영방식에 따른 장래 공급능력 평가
- 기후변화를 고려한 지형특성별 지하수 내 질산성질소에 대한 수치해석
- 비화재보 저감을 위한 물류창고 연기 특성 분석
- 비탈면 보강재 매설에 따른 현장적용성 분석
- MODSIM 기반의 영산강-섬진강 유역의 물 부족 평가 및 대책 방안 연구
- 소하천 스마트 계측관리시스템의 표면-평균유속 환산계수 산정식 개발
- 시공간 특성을 고려한 대기오염물질배출량과 천식의 핫스팟 지역 분석
- 하류부 범람 피해 저감을 위한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의 사이펀 운영기준 제시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권 2호 목차
- 인공지능 안면 영상 분석 기반 생체 신호 측정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작업자 건강 상태 모니터링 현장 적용 가능성 검증
- Comparative Analysis of Risk Factor Weighting GBDT Methods for Enhancing the Accuracy of Flood Risk Assessm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