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ODSIM 기반의 영산강-섬진강 유역의 물 부족 평가 및 대책 방안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MODSIM-Based Study on Water Deficiency and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Yeongsan-Seomjin River Basi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어규(Gyu Eo) 김형수(Hung Soo Kim)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2호, 107~12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온난화와 기상이변은 전 세계적으로 이상가뭄의 빈도와 강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에서도 1968년과 2017년의 대가뭄 사례로 확인되었으며, 최근 2022년 영산강, 섬진강 유역의 가뭄으로 더욱 심각성이 부각되고 있다. 가뭄은 단순한 기상학적 현상을 넘어 수문학적, 농업적, 사회경제적 측면으로 복합적으로 확대되는 특성을 지닌다. 우리나라는 수자원의 안정적 공급과 효율적 배분을 위해 국가적 차원의 노력을 지속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의 가뭄 사례는 기존의 수자원 관리 체계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며, 더욱 체계적인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과 섬진강 유역의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안)을 정량화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 물수급 평가(수립중, 환경부)』의 현행 물 부족량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국가적 차원에서 수립 가능한 다양한 대책들을 비교·분석하였다. 대책 적용결과, 영산강 유역은 총 71.45백만m³/년, 섬진강 유역은 총 52.59백만m³/년의 물을 추가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대상유역인 영산강, 섬진강 유역은 물 이동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대책을 세우는 것 보다는 영산강, 섬진강 두 유역에 대해 함께 물 부족 평가 및 대책을 세우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향후 영산강, 섬진강 유역에 가뭄 발생 시 효율적인 물 관리와 물 부족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추가적으로, 기후변화의 불확실성과 수자원 관리의 복잡성을 고려할 때,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적응적 관리전략의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Global warming and extreme hydrologic events caused by climate change are increasing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abnormal droughts worldwide. This phenomenon has also been observed in Korea, as evidenced by the major droughts in 1968 and 2017. More recently, the 2022 droughts in the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s have highlighted the growing severity of the issue. Drought is not only a meteorological phenomenon; it expands into hydrological, agricultural, and socio-economic dimensions in a complex manner. Korea has made continuous efforts at the national level to ensure a stable supply and efficient allocation of water resources. However, recent drought events have exposed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water resource management system, indicating the need for a more systematic approach. This study aims to quantify and evaluate potential countermeasures to address water scarcity in the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s. To achieve this, we utilize current water shortage data from the National River Basin Water Resource Management Plan : Water Supply-Demand Assessment (under development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compare and analyze various countermeasures that can be established at the national level.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se countermeasures, it was found that an additional 71.45 million m³/year of water could be secured in the Yeongsan River basin and 52.59 million m³/year in the Seomjin River basin. Given the organic interconnection between the Yeongsan and Seomjin basins, it is considered more appropriate to evaluate water shortages and establish countermeasures for the two basins collectively, rather than separately. It is expected that this integrated approach will contribute to effective water management and resolution of water scarcity in the event of future droughts in these regions. Additionally, considering the uncertainties of climate change and the complexities of water resource management, continuous monitoring and the establishment of adaptive management strategies are deemed necessary.
목차
1. 서 론
2. 연구 방법
3. 물 부족 평가에 따른 이수안전도 설정 및 대책 검토
4. 물 부족 해결을 위한 대책(안) 제시 및 이수안전도 재평가
5.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권 2호 목차
- 인공지능 안면 영상 분석 기반 생체 신호 측정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작업자 건강 상태 모니터링 현장 적용 가능성 검증
- Comparative Analysis of Risk Factor Weighting GBDT Methods for Enhancing the Accuracy of Flood Risk Assessment
- Risk Assessment for Compound Disaster Events of Hot-Drought and Hot-Humid in Shandong, China
- 공간회귀분석을 활용한 재난회복력과 재난피해액 간 영향분석
- 지진 재난에 따른 화재, 피난, 구조 위험도 평가지표 도출에 대한 연구
- 화재현장 배연전술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산악 철도 매립형 궤도의 구성 요소 간 접합면 특성이 궤도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섬진강 유역 다목적댐 운영방식에 따른 장래 공급능력 평가
- 기후변화를 고려한 지형특성별 지하수 내 질산성질소에 대한 수치해석
- 비화재보 저감을 위한 물류창고 연기 특성 분석
- 비탈면 보강재 매설에 따른 현장적용성 분석
- MODSIM 기반의 영산강-섬진강 유역의 물 부족 평가 및 대책 방안 연구
- 소하천 스마트 계측관리시스템의 표면-평균유속 환산계수 산정식 개발
- 시공간 특성을 고려한 대기오염물질배출량과 천식의 핫스팟 지역 분석
- 하류부 범람 피해 저감을 위한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의 사이펀 운영기준 제시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권 2호 목차
- 인공지능 안면 영상 분석 기반 생체 신호 측정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작업자 건강 상태 모니터링 현장 적용 가능성 검증
- Comparative Analysis of Risk Factor Weighting GBDT Methods for Enhancing the Accuracy of Flood Risk Assessm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