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교사들의 교과서 과제 분석 및 변형을 통한 모델링 실행: 제도적 제약의 의식과 극복
이용수 5
- 영문명
- Preservice Teachers' Implementation of Modeling Through Textbook Task Analysis and Modification: Recognizing and Overcoming of Institutional Constraint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현(Jihyun Lee) 정혜윤(Hye-Yun Jung)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7권 제1호, 139~16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생태학적 관점에서는 교사의 수업 준비를 단순히 가르칠 지식과 과정을 주어진 수업 환경에 적응시키는 것이 아니라, 생태계 엔지니어로서 지식과 과정이 정착하고 생존할 수 있도록 수업 환경을 변화시키는 양방향 과정으로 본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생태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모델링을 가르치기 위한 교수학습 활동을 설계하고 실행하였다. 특히, Barquero et al. (2013)이 제기한 응용주의・기념비주의・보호주의・ 개인주의와 같은 모델링 실행을 방해하는 제도적 제약들을 의식하고 극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예비교사들의 성찰저널에 대한 주제 분석 결과, 응용주의・기념비주의・보호주의와 관련하여 예비교사들이 수학 교수학습과 과제에 대한 어떤 구체적 기대와 규범을 의식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예비교사들이 과제 변형과 수업 실연에서 극복한 제도적 제약의 측면과 극복하지 못한 측면을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The ecological perspective views preparing mathematics for teaching not merely as a one-sided adaptation of knowledge and processes to a given didactic environment but as a reciprocal modification of both the knowledge and its environment, akin to the role of an ecosystem engineer. Grounded in this perspective,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y in teaching mathematical modeling while addressing institutional constraints such as applicationism, monumentalism, protectionism, and individualism, as identified by Barquero et al. (2013). A thematic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journal responses revealed how these institutional constraints manifested as specific expectations or norms regarding mathematical tasks and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Furthermore, we examined which aspects of these institutional constraints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overcome and which remained challenging when modifying and implementing textbook task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모델링의 생태학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영재 학생들의 페르미 문제해결 과정 분석
- 학교수학 제27권 제1호 목차
- 초등 수학교육에서의 기본 구구(basic facts) 지도에 대한 논의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등호와 동치 관계’ 분석
- 수학과 디지털교과서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교사의 순회지도와 특성이 수학 수업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개념 간의 연결을 적용한 원리 탐구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분수 연산 감각에 관한 연구
- 수학적 모델링 수업을 위한 증강현실 도구 개발 및 효과 분석 - 중학교 2학년 일차함수 그래프의 기울기 개념을 중심으로 -
- 예비교사들의 교과서 과제 분석 및 변형을 통한 모델링 실행: 제도적 제약의 의식과 극복
- 우리나라 학교수학에서 대푯값과 산포도 지도에 대한 고찰과 개선 방안 탐색
- 덧셈과 뺄셈, 덧셈과 곱셈의 혼합계산 순서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탐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