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양육효능감과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이용수 4
- 영문명
- The Longitudinal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A Sequential Dual Mediation of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Child Interaction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서민정(Min-Jeong Seo) 천연미(Yuen Mi Cheon)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30 No.1, 119~14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mediated by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child interaction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1,484 households in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using validated scales. The associations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t age 5) and social competence (at age 9) were tested, followed by a dual mediation analysis of parenting efficacy (at age 6) and parent-child interaction (at age 7).
Results: Parenting stress at age 5 negatively affecte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t age 9.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t age 5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t age 9 was mediated by reduced parenting efficacy at age 6 and weaker parent-child interactions at age 7.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tarting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s for parents when their children are 5 years old may be beneficial. Particularly, gender-sensitive programs and programs to reduce parenting stress, while enhancing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child interactions, would be crucial for support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이돌보미의 직업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아이돌봄지원사업 관련 국내 언론보도 변화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1호 목차
- 한부모와 초등학생 자녀의 여가활동이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한모가족과 한부가족 여부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디지털 기기 활용에 대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경험 및 인식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행동 유형별 영향요인 분석 - Belsky’s Parenting Model을 중심으로
- 국내 거주 중국인 어머니의 유아기 자녀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양육효능감과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