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거주 중국인 어머니의 유아기 자녀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Chinese Mothers Living in South Korea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김수인(Soo-Yin Kim) 이은정(Eun-Jung Lee) 조다은(Da-Eun Cho) 이온유(On-You Lee) 장천수(Tian-Xiu Zhang) 이운경(Woon-Kyu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30 No.1, 63~102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Chinese mothers in South Korea(hereafter, Korea) are explored in this study, addressing the lack of research by considering their values and beliefs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Methods: Two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with eight Chinese mothers living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ir parenting experiences were analyzed using Braun and Clarke's six-phase thematic analysis.
Results: This study reveals that Chinese mothers raising their children in Korea navigate their parental roles with a sense of pride, skillfully integrating Korean and Chinese cultural elements despite facing various practical challenges. Six overarching themes emerged from the findings: “Parental self-identity,” “Parental roles in two similar yet different countries”, “The first steps of parental roles in early childhood in Korea,” “Co-parenting created together as a couple,” “The weightand joy of parenthood,” and “The multifaceted experience of being a Chinese mother in South Korea.”
Conclusions: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parenting behaviors, stress,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Chinese mothers residing in Korea, providing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ir parenting experience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parent education programs, co-parenting initiatives, and improving parenting support policies tailored to the unique needs of Chinese parent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이돌보미의 직업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아이돌봄지원사업 관련 국내 언론보도 변화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1호 목차
- 한부모와 초등학생 자녀의 여가활동이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한모가족과 한부가족 여부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디지털 기기 활용에 대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경험 및 인식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행동 유형별 영향요인 분석 - Belsky’s Parenting Model을 중심으로
- 국내 거주 중국인 어머니의 유아기 자녀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양육효능감과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