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행동 유형별 영향요인 분석 - Belsky’s Parenting Model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Behavior Types for Fa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 Belsky’s Parenting Model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고정국(Junggoog Go)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30 No.1, 39~6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different types of paternal parenting behaviors among fathers with preschool-aged children.
Method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9.0. Descriptive statistics, skewness, and kurtosis we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prior to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behavior type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each type of parenting behavior.
Results: Fathers' openness and informational support positively influenced ideal parenting behavior. Risk factors for neglectful parenting behavior included the number of children, marital conflict, and work-father role conflict. Contradictory parenting behavior was influenced by fathers' extroversion and children's emotionality.
Conclusions: This study deepens the understanding of paternal parenting by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different types of parenting behaviors in the Korean sociocultural contex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tailored support measures for each parenting type, such as providing parenting-related information, supporting marital conflict resolution and work-family balance, and enhancing understanding of child tempera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important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paternal parenting support policies and program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이돌보미의 직업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아이돌봄지원사업 관련 국내 언론보도 변화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1호 목차
- 한부모와 초등학생 자녀의 여가활동이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한모가족과 한부가족 여부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디지털 기기 활용에 대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경험 및 인식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행동 유형별 영향요인 분석 - Belsky’s Parenting Model을 중심으로
- 국내 거주 중국인 어머니의 유아기 자녀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양육효능감과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