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저학년의 학교적응 변화궤적과 성별, 어머니의 일-양육 갈등의 영향 및 집행기능곤란의 시간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Influence of Gender and Mother's Work-Parenting Strains and the Time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on the Trajectory of School Adjustment in Low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영재교육학회
저자명
문은식(Ehun Shik Moon) 문명화(Myunghwa Moon)
간행물 정보
『영재와 영재교육』제24권 제1호, 51~7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 1∼3학년의 학교적응 변화궤적을 탐색하고 집행기능곤란의 학교적응에 대한 동시효과 및 지연효과를 분석하며 초등학생의 성별, 어머니의 일-양육 갈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종단자료를 바탕으로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1∼3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학교적응에 대해 집행기능곤란은 8차(초1), 9차(초2), 10차(초3) 모든 시점에서 동시효과가 확인되었다. 8차(초1)시점의 집행기능곤란은 9차(초2)시점의 학교적응에 지연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교적응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성별은 학교적응 초기값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어머니의 일-양육 갈등은 학교적응의 변화에 직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해 집행기능곤란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학년별,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trajectory of first to thi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and the simultaneous and delayed effects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and to verify the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der and mother's work-parenting strains on school adjustment. For this purpose, a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8th year to the 10th year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As a result, first, the school adjustment of lower elementary students showed a linear increase. Second, the simultaneous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on school adjustment was confirmed at the 8th∼10th time. In addition, the delayed effects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on school adjustment were confirmed from the 8th to the 9th tim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trajectory of school adjustment by gender,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level of school adjustment than mal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e importance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help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apt to school and suggest the need for differentiated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grade level and gend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은식(Ehun Shik Moon),문명화(Myunghwa Moon). (2025).초등학교 저학년의 학교적응 변화궤적과 성별, 어머니의 일-양육 갈등의 영향 및 집행기능곤란의 시간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24 (1), 51-77

MLA

문은식(Ehun Shik Moon),문명화(Myunghwa Moon). "초등학교 저학년의 학교적응 변화궤적과 성별, 어머니의 일-양육 갈등의 영향 및 집행기능곤란의 시간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24.1(2025): 51-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