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대학생의 능동적 성격이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influence of the proactive personality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on career exploration
발행기관
한국영재교육학회
저자명
孟照军(Zhao Jun Meng) 강갑원(Kab-won Kang)
간행물 정보
『영재와 영재교육』제24권 제1호, 29~4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들의 능동적 성격,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탐색 수준이 각각 어떠한지, 능동적 성격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탐색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그 과정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표본은 중국 하남성 4개 대학 남녀학생 295명이며, 2024년 4월26일과 5월 6일 사이에 조사를 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능동적 성격,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탐색은 5점 만점에 각각 평균 3.37점, 3.27점, 3.28점으로서 좀 더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학년을 통제한 상태에서 능동적 성격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탐색에 각각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탐색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능동적 성격이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보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다섯째, 능동적 성격이 진로탐색에 영향을 미칠 때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정적 매개 역할을 하였다. 여섯째, 능동적 성격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두 변인은 학년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진로탐색을 약 38.4% 설명해주었다. 능동적 성격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대학생의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이고, 이 두 변인이 어울려 작용할 때 그 영향이 더 커진다는 점에서 능동성이라는 성격 요인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라는 능력감 요인 모두가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한 점에서 본 연구의 함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evels of proactive persona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in Chinese college students, how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ffect career exploration, respectively, and whet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295 male and female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in Henan Province, China,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April 26 and May 6, 202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active persona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were 3.37, 3.27, and 3.28 out of 5 points,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y need to be further improved. Second, while controlling the grade, the active person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respectively. Thir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exploration. Fourth, the influence of the active personality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greater than on career exploration. Fifth, when the active personality influenced career explor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layed a positive mediating role. Sixth, the two variables of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explained approximately 38.4% of career exploration after controlling for the influence of grad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both the personality factor of proactiv personality and the sense of ability factor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re important, as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re major variables that influence college students' career exploration, and when these two variables work together, the influence becomes great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孟照军(Zhao Jun Meng),강갑원(Kab-won Kang). (2025).중국 대학생의 능동적 성격이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24 (1), 29-49

MLA

孟照军(Zhao Jun Meng),강갑원(Kab-won Kang). "중국 대학생의 능동적 성격이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24.1(2025): 29-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