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무한의 관점으로 본 「천부경」

이용수  0

영문명
Interpreting Cheongbugyeong through infinity : A Confluence of philosophy and mathematics
발행기관
세계환단학회
저자명
양재학(Jae-hack Yang)
간행물 정보
『세계환단학회지』11권 2호, 37~7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천부경」은 환국 시대로부터 배달국을 거쳐 전승된 경전이다. 「천부경」이 인류 문화의 원형과 수학의 뿌리라는 주장은 매우 설득력이 있다. 81자 중에서 숫자가 31자인 「천부경」을 순수 수학의 관점에서 검증하는 것은 그 객관성과 합리성을 한층 드러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그리고 「천부경」을 철학에서 말하는 ‘무’를 너머 현대 수학의 ‘무한’을 중심으로 해석하는 작업은 매우 의미가 크다. 이 글은 무한의 입장에서 천원지방에 숨겨진 하늘땅의 존재방식에 대한 수수께끼가 일종의 미적분 방정식이라는 것으로부터 기획되었다. 무한이 살아 있음을 증명하는 생명의 맥놀이가 바로 ‘삼ㆍ일’의 리듬과 율동이다. 무와 유 사이의 맥놀이가 바로 ‘삼ㆍ일’의 논리인 것이다. 그것은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를 꿰뚫는 우주의 심장 박동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천부경」은 ‘삼ㆍ일’ 논리를 보유한 보석같은 경전이라 하겠다. 「천부경」은 환역桓易과 희역羲易과 금역今易으로 계승되어 무한은 본체와 작용의 근거로 나타났으며, 그것은 한민족의 정신 속 깊숙이 잠들었다가 19세기 동학東學과 『정역』으로 되살아나 한류 문화의 혼으로 깨어나기 시작했다.

영문 초록

Cheongbugyeong is a scripture passed down from the Hwanguk era through the Baedal nation. The claim that Cheongbugyeong is the archetype of human culture and the root of mathematics is highly persuasive. Verifying Cheongbugyeong, which contains 31 numbers out of 81 characters, from a pure mathematical perspective will be an excellent opportunity to further reveal its objectivity and rationality. Moreover, interpreting Cheongbugyeong by focusing on the concept of 'infinity' in modern mathematics, beyond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nothingness,' is a highly meaningful task. This article was conceived from the idea that the riddle of the existential mode of heaven and earth hidden in Cheonwon-jibang (Heaven Is Round and Earth Is Square) principle is a kind of calculus eq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finity. The rhythm of Three-One principle is the vital pulse that proves the existence of infinity. The interplay between nothingness and existence is the logic of Three-One principle. It can be considered the heartbeat of the universe that penetrates both the visible and invisible worlds. Therefore, Cheongbugyeong is a gem-like scripture that possesses the Three-One logic.

목차

Ⅰ. 머리말
Ⅱ. ‘무無’는 ‘없음’ 자체인가, 무한無限인가?
Ⅲ. ‘유무 논쟁’에 얽힌 무한 이론
Ⅳ. 「천부경」에서 유래한 천원지방天圓地方과 무한
Ⅴ. 「천부경」 81자의 구성과 수학의 원칙
Ⅵ.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재학(Jae-hack Yang). (2024).무한의 관점으로 본 「천부경」. 세계환단학회지, 11 (2), 37-71

MLA

양재학(Jae-hack Yang). "무한의 관점으로 본 「천부경」." 세계환단학회지, 11.2(2024): 37-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