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중 정원문화로 본 동방 삼신관三神觀의 오수용誤受容과 변용
이용수 0
- 영문명
- Misappropri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eastern principle of triune spirit (三神觀) in east Asian garden culture
- 발행기관
- 세계환단학회
- 저자명
- 정우진(Woo-jin Jung)
- 간행물 정보
- 『세계환단학회지』11권 2호, 181~225쪽, 전체 4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8,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진·한대 궁원에 조성된 삼신산도 원림이 연과 제나라 출신 방사들에게 오수용된 삼신산의 개념적 모형을 근거로 하고 있으며, 그것이 한중 정원문화에서 전형적 양식으로 고착되어 전승되었음을 논구한 것이다. 한중의 역사적 정원은 대개 선계의 재연이라는 지향점이 있었으며, 이는 삼신산에 비의된 연못의 섬을 통해 달성되었다. 진시황과 한무제가 조성한 삼신산도 원림은 방사들의 해중 삼신산 탐사가 실패한 후 삼신산의 개념적 모형을 형상화한 결과물이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진한시기 활동했던 방사들은 모두 연과 제 출신으로, 봉래·방장·영주의 세 섬으로 규정된 삼신산의 보편적인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먼저 고조선과 연·제가 벌였던 전쟁에서 고조선이 실효적으로 지배하던 통치 권역을 중원에 넘겨 준 것을 계기로 이 지역에 잔존하던 고조선의 삼신산 관념이 방사들에게 유입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고조선의 삼신신앙이 붕괴되는 시점의 변용된 삼신관이 연과제 지방에 유출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고대 정원문화에서 가공의 삼신산 모형이 창작된 이후로 삼신산은 실체가 없는 환상의 섬으로 인식되가 하면 신화적 공간으로도 윤색되어 5선산, 8선산, 10주산 등으로 확대되기도 했다. 중국 삼신산 정원의 태동기에 삼신산은 봉래·방장·영주로 구성된 '각재삼도各在三島의 도신島神‘으로 인식된 반면, 동방 삼신산의 원형적 개념은 ‘삼신일체’의 상제였다. 한편 신선세계의 왜곡된 형상을 담지한 중국의 삼신산도 정원 문화는 한국에 무비판적으로 수용되어 선계의 정원을 연출하는 전형적·정형적 양식이 되어 근세에까지 지속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iscusses how the conceptual model of the Triune Spirit [Three Scared Spirits] Mountain(s), created in the gardens of the Qin and Han dynasties, was appropriated by Bang-sa (方士) scholars from the Yan and Zhao states and became a typical form in the cultural heritage of gardens in China and Korea. Historically, gardens in China and Korea often aimed to recreate the realm of immortals, which was achieved through islands in ponds metaphorically linked to the Three Sacred Mountains. The gardens created by Qin shi Huang and Emperor Wu of Han share the commonality of being the result of conceptualizing the Three Sacred Mountains after the failure of scholars' explorations of the undersea Sacred Mountains.
The scholars active during the Han period were all from the Yan and Zhao states, and they shared a universal recognition of the Three Sacred Mountains defined by the three islands of Penglai, Fangzhang, and Yingzhou. This background includes the fact that, following the wars between Gojoseon and the Yan and Zhao states, Gojoseon effectively ceded its governing territory in the central plains, allowing the lingering concepts of the Three Sacred Mountains to infiltrate the scholars' minds. Additionall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transformed concept of the Three Sacred Mountains, which declined during the fall of Gojoseon, was transmitted to the regions of Yan and Zhao.
Since the creation of the fictional model of the Three Sacred Mountains in ancient garden culture, these mountains have been perceived as islands of illusion without substance and have been mythologized, expanding into concepts like the Five Sacred Mountains, Eight Sacred Mountains, and Ten Abodes of the Immortals. During the emergence of Chinese garden culture related to the Three Sacred Mountains, they were recognized as the “island deities” of the 'Three Islands in Different Locations' (各在三島), composed of Penglai, Fangzhang, and Yingzhou. In contrast, the archetypal concept of the Eastern Three Sacred Mountains was the “the Triune Spirit [Three Scared Spirits] as One”(三神一體). Furthermore, the study investigates how the imagery and concepts associated with the Three Sacred Mountains evolved over time, leading to a reinterpretation of these symbols in both Chinese and Korean landscapes. This transformation reflects broader cultural exchanges and influences, as well as the unique adaptations of local beliefs and aesthetics.
목차
Ⅰ. 서론
Ⅱ. 이상향을 담는 그릇, 정원
Ⅲ. 진한대 삼신산도三神山島 담론의 확산과 삼신산 지리관의 형성
Ⅳ. 삼신일체三神一體의 산, 삼신산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