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년층의 주거지원 정책 효과성에 대한 인식 분석
이용수 65
- 영문명
- An Analysis of Youth's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Housing Support Policy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 저자명
- 유은아(Eun-A Yu) 오세준(Saejoon Oh)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융복합연구』제5권 제1호, 79~9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년층의 주거지원 정책 효과성에 초점을 두고, 정책 인식과 전달체계 요인이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첫째, 주거지원 정책의 효과성은 청년들의 정책 인식 수준에 따라 좌우되며, 인지도가 높을수록 효과성이 증가한다.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요인보다는 정책 인식이 더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둘째, 주거지원 정책 인식요인 중 인지도와 필요성이 높을수록 주거지원 정책의 효과성이 증가하며, 이러한 경향은 정책의 평가와 대처의 수준이 높을수록 더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셋째, 주거지원 정책 제공 요인 중 적절성, 지속성, 포괄성이 높을수록 효과성이 증대하며, 특히 연령이 낮고, 가구 형태가 작을수록 효과성이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주거지원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청년들이 자주 이용하는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정책 홍보 강화, 정책 참여 경로를 오프라인 커뮤니티 등으로 다각화, 연령 및 가구 형태를 고려한 맞춤형 정책 설계,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중장기 지원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청년층의 주거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iveness of housing support policies for young people and analyzed the impact of policy awareness and delivery system factors on effectiveness.
First, the effectiveness of housing support policies is determined by the level of policy awareness among young people, and the higher the awareness, the greater the effectiveness. Policy awareness had a more important impact than individual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factors.
Second, among the factors of housing support policy awareness, the higher the awareness and necessity, the greater the effectiveness of housing support policies, and this trend was found to increase as the level of policy evaluation and response increased.
Third, among the policy provision factors, the higher the appropriateness, sustainability, and comprehensiveness, the greater the effectiveness, and in particular, the lower the age and the smaller the household type, the greater the effectiveness.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housing support policie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olicy promotion using digital media frequently used by young people, diversify policy participation channels to offline communities, design customized policies considering age and household type, and establish a continuous and stable mid- to long-term support system. This will help solve the housing instability problem among young people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거환경 요인에 따른 삶의 만족도
- 부동산융복합연구 제5권 제1호 목차
- 윤석열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부동산 시장 전망
- 재건축아파트의 가격이 일반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 부산광역시 관리처분계획인가 받은 아파트를 중심으로
- 재개발사업 투자 환경이 투자가치 및 투자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청년층의 주거지원 정책 효과성에 대한 인식 분석
- 재건축조합에서 의사소통 강화가 조합원의 자산가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 오피니언 마이닝을 활용한 도심항공교통(UAM) 감성분석 연구
- 금리상승기에 금리유형별 주택담보대출 만족도의 차별적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