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Specialized Academic Programs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김정훈(Jeong-Hoon Kim)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89輯, 565~58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is a growing trend, and Korean universities play a pivotal role in this movement.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of specialized academic programs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While these programs have advanced the globalization of Korean higher education, they face issues such as limited curriculum diversity, insufficient cultural support, and inadequate career development systems. Drawing on successful international education models from countries like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this research proposes strategies for improvement. Key recommendations include diversifying course offerings, incorporating global perspectives, and enhancing interdisciplinary programs. Additionally, strengthening comprehensive support systems, including administrative assistance, cultural adaptation programs, and career development services, is crucial. Collaborative efforts among universities, government agencies, and businesses are essential to creating a sustainable ecosystem for international students, ultimately enhancing Korea's global competitiveness in higher education.
영문 초록
本研究聚焦于韩国国内大学留学生专属学部的运营现状与改进方向,旨在为提升韩国高等教育的国际化水平提供理论基础与实践建议。留学生专属学部作为韩国大学国际化战略的重要组成部分,其主要目标是通过提供量身定制的课程和支持服务,帮助留学生快速适应韩国的语言环境与文化,同时培养具有全球视野的专业人才。然而,现有研究与实际调查显示,这些学部在运营过程中面临多重挑战,例如课程设计的局限性、语言与文化适应的困难、以及毕业后就业支持不足等问题。具体而言,课程设置主要集中于韩语能力培养和韩国文化的基本理解,尚未充分融入多样化的专业课程和国际化内容;此外,由于文化差异与语言障碍,留学生在学术和日常生活中的适应过程往往较为艰难;在职业发展方面,现有支持体系无法满足留学生对就业信息、实习机会及职业规划的需求,从而影响其未来发展。为应对这些问题,本研究通过分析国内外成功的留学生教育案例,提出了以下改进方向:第一,开发兼顾专业性与国际化的课程体系,使留学生能够在提高语言能力的同时掌握更广泛的专业技能;第二,强化综合性支持服务,包括心理辅导、语言支持、文化适应课程等,帮助留学生更好地融入校园和社会;第三,建立毕业后职业支持体系,例如增加企业合作项目、提供就业指导与实习机会等,以提高留学生的就业竞争力。通过这些改进措施,韩国大学的留学生专属学部可以更有效地满足留学生的多样化需求,同时提升韩国高等教育的国际影响力。本研究不仅为学术界提供了有关留学生教育的理论参考,也为政策制定者和高校管理者提供了具体的实践建议,旨在推动韩国高等教育的可持续国际化发展。
목차
1. 引言
2. 韩国国内大学留学生专属学部现状
3. 留学生专属学部的主要问题
4. 通过海外案例分析提出改进方向
5. 留学生专属学部的发展方案
6. 结论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第89輯 목차
- 조셉 캠벨의 신화론에서 본 <뮬란>(1998)
- 현대중국어 간접부정의 사용과 의사소통 효과
- 당대(唐代) 폭포시 연구
- 중국인 유학생 수용 ‘장’에서 문화자본의 작동방식 - 20세기 초 홋카이도제국대학의 경우를 중심으로
- 중국 ‘경기장 외교(stadium diplomacy)’의 담론 분석 - 서구와 중국의 미디어 보도를 중심으로
- 文化记忆的现代重构 ——以「黑神话:悟空」为例
- 송시 속 미식 추구 - ‘와사세륵(臥沙細肋)’을 중심으로
- AI hub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를 활용한 파파고 번역 품질 시각화 연구 - ‘방송콘텐츠 한국어-중국어 번역 말뭉치’를 중심으로
- 혼합형 수업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필요성에 대한 연구 - 중국 내 대학 한국어학과를 대상으로
- 『說文解字翼徵』引詛楚文字形探析及釋字註評
- 通育与专育:气氛美学与电影教育——以电影专业课程设计为例
- 二里头到西周时期铜斝研究
- 대학 중국어 학습자를 위한 단계별 한자 교육 방안
- 중국 초등학교 『語文』 직유 표현 연구
- 『三俠五義』 상투구의 『包閻羅演義』에서의 활용
- 虚拟现实购物环境中消费者技术接受度的实证研究 ——基于SOR-TAM 整合模型的分析
- 中韩环境合作问题研究 ——以黄沙治理合作为中心
- 서비스러닝 기반 교양 교과목의 만족도 모형에 관한 연구 - <미래사회와 디지털지식>을 중심으로
- 반금련 인물 형상 해석 - 니체 철학의 관점을 중심으로
- “属国”意识与晚清对朝政策之转型研究
- 中级汉语会话课程中问题中心教学法的应用研究
- ‘生’과 ‘생’의 한중 의미 대조 연구
- 二战后韩中日三国的汉字政策及要因分析
- 沈從文의 상하이 시기 소설 여성형상 연구 - 애정 주도형 여성형상의 등장 배경과 의미
- 시진핑시대, 중국 전통문화의 재정립과 문제점
- 『飞鸿堂印人传』版本流传与成书方式研究
- 中韩战略合作伙伴关系的转型:挑战与选择
- 톈진과 상하이의 도시문화 형성
- 『삼국연의』의 발화형식 - 호명방식을 중심으로
- 关于韩国国内大学留学生专属学部的现状与改进方向研究
- 송원대 시학의 허자론 초탐
- 『장자』 관물·제물사상 연구 - 「제물론」을 중심으로
- 孔子의 『詩經』 편집에 보이는 민족통합 - 雅·頌을 중심으로
- 非工作时间与工作相关电子沟通量表开发与实证研究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세계관 해석에 근거한 자살 유가족을 위한 애도의 철학상담: 야스퍼스의 『세계관의 심리학』을 중심으로
- 디지털 치료제와 환자의 자율성: 사전동의 과정 재구성을 위한 제언
- 데카르트 윤리학에서 개인의 자유와 상호 존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