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Necessity of Developing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for Blended Learning : Korean Language Programme in Chinese Universities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양범(Fan Yang)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89輯, 127~15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보 기술이 교육에서 지속적으로 응용됨에 따라 ‘혼합형’ 수업 교육 모델이 대학교의 개방 교육에 점차 융합되고 있다. 중국의 많은 대학교들은 시대의 조류를 따라 현대 정보 기술과 원격 개방 교육의 결합을 통해 온라인 핵심 과정, 온라인 학습 공간, 온라인 교수진, 온라인 학습 서비스, 온라인 학습 평가, 온라인 교수 관리 등을 중심으로 한 ‘혼합형’ 교수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개방대학의 ‘응용 한국어’ 전공 교재 편찬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특히,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 인터넷 플랫폼을 활용한 자율 학습을 강조하는 하는 교재 편찬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온라인 교육 시대에 적합한 교재의 내용 및 디자인 방안을 논의하였다. 연구는 한국어 발음, 전문 용어, 한국어 문법 및 문법 프로젝트, 평가 방안 등 교재 편찬에 있어 중요한 요소들을 살펴보고, 각 항목 별로 제시되는 편찬 순서를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영문 초록
With the continuous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education, the ‘blended’ classroom teaching model has begun to be integrated into the open education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response to the trend of the times, many Chinese universities have integrated modern information technology with distance education, and constructed a ‘hybrid’ teaching model based on online core courses, online learning space, online teachers, online learning services, online learning evaluation, and online teaching management. This study explores the content and design of teaching materials in the era of online educ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ource construction of the ‘Applied Korean’ major in Chinese universities, that is, the idea of writing teaching materials that focuses on college students and independent learning on online platforms. It introduces the contents of Korean pronunciation, vocabulary, grammar and grammar explanation, assessment and evaluation, as well as the related writing sequence.
목차
1. 서론
2. 혼합형 수업의 개요
3. 현행 한국어 교재의 문제점
4. 혼합형 수업 교재에 반영되어야 할 내용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第89輯 목차
- 조셉 캠벨의 신화론에서 본 <뮬란>(1998)
- 현대중국어 간접부정의 사용과 의사소통 효과
- 당대(唐代) 폭포시 연구
- 중국인 유학생 수용 ‘장’에서 문화자본의 작동방식 - 20세기 초 홋카이도제국대학의 경우를 중심으로
- 중국 ‘경기장 외교(stadium diplomacy)’의 담론 분석 - 서구와 중국의 미디어 보도를 중심으로
- 文化记忆的现代重构 ——以「黑神话:悟空」为例
- 송시 속 미식 추구 - ‘와사세륵(臥沙細肋)’을 중심으로
- AI hub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를 활용한 파파고 번역 품질 시각화 연구 - ‘방송콘텐츠 한국어-중국어 번역 말뭉치’를 중심으로
- 혼합형 수업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필요성에 대한 연구 - 중국 내 대학 한국어학과를 대상으로
- 『說文解字翼徵』引詛楚文字形探析及釋字註評
- 通育与专育:气氛美学与电影教育——以电影专业课程设计为例
- 二里头到西周时期铜斝研究
- 대학 중국어 학습자를 위한 단계별 한자 교육 방안
- 중국 초등학교 『語文』 직유 표현 연구
- 『三俠五義』 상투구의 『包閻羅演義』에서의 활용
- 虚拟现实购物环境中消费者技术接受度的实证研究 ——基于SOR-TAM 整合模型的分析
- 中韩环境合作问题研究 ——以黄沙治理合作为中心
- 서비스러닝 기반 교양 교과목의 만족도 모형에 관한 연구 - <미래사회와 디지털지식>을 중심으로
- 반금련 인물 형상 해석 - 니체 철학의 관점을 중심으로
- “属国”意识与晚清对朝政策之转型研究
- 中级汉语会话课程中问题中心教学法的应用研究
- ‘生’과 ‘생’의 한중 의미 대조 연구
- 二战后韩中日三国的汉字政策及要因分析
- 沈從文의 상하이 시기 소설 여성형상 연구 - 애정 주도형 여성형상의 등장 배경과 의미
- 시진핑시대, 중국 전통문화의 재정립과 문제점
- 『飞鸿堂印人传』版本流传与成书方式研究
- 中韩战略合作伙伴关系的转型:挑战与选择
- 톈진과 상하이의 도시문화 형성
- 『삼국연의』의 발화형식 - 호명방식을 중심으로
- 关于韩国国内大学留学生专属学部的现状与改进方向研究
- 송원대 시학의 허자론 초탐
- 『장자』 관물·제물사상 연구 - 「제물론」을 중심으로
- 孔子의 『詩經』 편집에 보이는 민족통합 - 雅·頌을 중심으로
- 非工作时间与工作相关电子沟通量表开发与实证研究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세계관 해석에 근거한 자살 유가족을 위한 애도의 철학상담: 야스퍼스의 『세계관의 심리학』을 중심으로
- 디지털 치료제와 환자의 자율성: 사전동의 과정 재구성을 위한 제언
- 데카르트 윤리학에서 개인의 자유와 상호 존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