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Qualitative Research for Activating the Transition Support Project: Focusing on Grounded Theory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이수용(Soo Young Lee) 송창근(Chang-keun Song)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제28권 제4호, 163~18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재활시설 최저임금 적용제외 근로장애인 전환지원사업의 현황 파악을 통해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는 연구로 전환지원사업의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고자 사업 추진체계를 담당하고 있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과 장애인직업재활시설 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집단 면접(FGI)를 실시하였다. 심층면접 조사결과, 이 사업으로 인해 직업재활시설의 전환인식이 확대되 었을 뿐 아니라 사업 참여로 인한 대상자들의 구직욕구가 상승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사업의 주 수행을 직업재활시설 자체 인프라를 활용한다는 점과 직업적 중증장애인 이라는 사업대상자의 특성 그리고 전환 필요성에 대해 부족했던 인식은 사업 초기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통 부족 등의 요인과 함께 전환지원사업의 어려움을 야기했다. 심층면접 결과로 나타난 문제점을 토대로 개선된 전환지원체계 구축을 강조하며 이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transition support project for disabled workers excluded from the minimum wage at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to find out ways to activate the project. In order to explore the problems and ways to activate the transition support project, in-depth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with the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which is in charge of the project promotion system, and those in charg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 survey showed that not only did this project expand awareness of transition at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but it also had a positive effect of increasing the job-seeking desire of the subjects due to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However, the fact that the project mainly utilized the infrastructure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itsel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subjects as occupationally severely disabled people, and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need for transition caused difficulties in the transition support project along with factors such as lack of communication that could occur in the initial stage of the project. Based on the problems revealed in the in-depth interview results, the establishment of an improved transition support system was emphasized and ways to activate this project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활성화 방안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활복지 제28권 제4호 목차
- 근로자의 장애인 접촉 경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업무성과 인식의 경로 검증
- 고령운전자의 운전 적합성 평가를 위한 실차평가 항목 개발: 예비연구
- 전환지원사업 활성화를 위한 질적조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 디지털 심화 시대 시각장애인 정보접근성 지원 요구 탐색: 복지관, 기업, 정부 차원을 중심으로
- Transforming Training: A Phenomenological Study of Person-Centered Thinking Trainers in Korea
-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장애인콜택시 이용 행태 분석: 경기도 화성시를 중심으로
- Gender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Self-Esteem, and Socioeconomic Factors on Self-Rated Health of Parents Caring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국제개발협력 70년의 성과와 100년을 향한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