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가족의 트라우마 현상에 관한 연구
이용수 331
- 영문명
- A Study on the Trauma Phenomena in Multicultural Families
- 발행기관
- 한국어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양경임(Kyeong Im Yang) 김현진(Hyun Ji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어 교육 연구』제23호, 133~15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족이 경험하고 있는 트라우마 현상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러한 트라우마 현상에 대응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은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사례 분석을 통해 진행되었다. 다문화 가족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트라우마 현상은 1) 문화적 충돌로 인한 스트레스와 트라우마, 2) 언어, 종교, 가치관 등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갈등과 불안 정서와 관련된 트라우마, 3) 사회적 편견과 차별로 인한 트라우마, 4) 다문화 가족 내의 차이로 인한 트라우마, 5)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불안정서와 관련된 트라우마로 파악되었다. 상담 및 심리 치료와 교육에서의 트라우마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을 때, 다문화 가족의 트라우마에 대한 AI 도구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다문화 가족 트라우마 생존자를 위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돌봄 접근, 교육적 접근 및 치료적 접근의 도구가 속히 개발되어 상용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auma experiences faced by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explore effective ways to address these trauma phenomena.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The trauma phenomena that can arise in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dentified as follows: 1) stress and trauma caused by cultural conflict, 2) trauma related to conflicts and anxiety stemming from differences in language, religion, and values, 3) trauma due to social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4) trauma resulting from differences within the multicultural family, and 5) trauma associated with anxiety from economic difficulties.
When examining the trends in trauma research in counseling, psychotherapy, and education, it was noted that there has been no utilization of AI tools for addressing trauma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ools for care, educational approaches, and therapeutic approaches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r survivors of trauma in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as soon as possible.
목차
1. 서론
2. 다문화 가족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트라우마 현상
3. 인공지능을 활용한 다문화 가족의 트라우마 현상 사례
4. 심리 상담 및 지원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관한 제언
5.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교육연구 제23호 목차
- 중국 한국어학과 학생들이 직면한 문제점과 대책에 관한 연구 - 치치하얼대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어 교재에서의 ‘만큼’, ‘대로’, ‘뿐’ 제시 현황과 개선 방안
- 한국 코미디 프로그램을 활용한 다문화 감수성 향상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한국어 전공자의 초급단계 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논리성 고찰
-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오류에 대한 연구
- 다문화 가족의 트라우마 현상에 관한 연구
- SNS를 활용한 교양 한국어 수업 연구
- <한국어기초사전>에서의 차별 표현 분석
- 국내 한국어 교육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 연구 경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