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한국어학과 학생들이 직면한 문제점과 대책에 관한 연구 - 치치하얼대학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33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Faced by Korean Language Students in China. : With the focus on Chichihal University in China
- 발행기관
- 한국어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방향옥(Xiangyu Fang) 최여녕(Runing Cui)
- 간행물 정보
- 『한국어 교육 연구』제23호, 87~10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경제 세계화의 심화와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의 적극적인 추진으로 국제 교류에서 국제 비통용 언어의 중요성이 점점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많은 대학교에서 '비통용 언어+' 복합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에 점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만 실제 교육 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고는 치치하얼대학교를 중심으로 조사와 연구를 통해 제한된 학습 자원, 효과적인 학습 전략 및 방법 부족, 실무 능력 부족, 심각한 취업 상황 등 한국어 전공 학생들이 직면한 여러 가지 어려움을 밝히고 이러한 문제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치치하얼대학교 한국어 전공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하는 데 목적을 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문제에 대응하여 해결책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우리는 한국어학과 학생들을 위해 풍부한 학습 자원을 마련해야 할 뿐만 아니라 외국어 학습 사고를 적극적으로 유도해야 한다. 그리고 학교와 학과 측에서 말하기 대회, 교환 프로그램 등을 만듦으로써 학생들에게 실천할 기회를 마련하며, 현시대에 맞는 이념을 가지고 한국어와 관련된 직업에 도전해야 한다.
영문 초록
With the deepening of economic globalization and the active promotion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the importance of small languages is becoming more and more prominent in international exchanges. Although many universities are paying more and more attention to fostering talented people with 'non-conventional language +' complex skills,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actual curriculum.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promot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major by revealing the various difficulties faced by Korean language students, such as limited learning resources, lack of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and methods, lack of practical skills, and serious employment conditions, through research and research centered on Chihar University.
Therefore, we tried to find a solution in response to problems such as lack of learning resources, lack of effective Korean language strategies and methods, lack of practical skills, difficulty in finding employment, and lack of Korean language skills. Not only should we provide abundant learning resources for Korean language students, but we should also actively induce foreign language learning thinking. And by creating speaking contests and exchange programs in schools and departments, students should have opportunities to practice them and challenge jobs related to Korean with an ideology that fits the present era.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조사 대상 및 조사 내용
3. 설문 조사 결과 및 데이터 분석
4. 한국어 학과 학생들이 직면한 문제점
5. 해결 대책
6. 나가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교육연구 제23호 목차
- 중국 한국어학과 학생들이 직면한 문제점과 대책에 관한 연구 - 치치하얼대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어 교재에서의 ‘만큼’, ‘대로’, ‘뿐’ 제시 현황과 개선 방안
- 한국 코미디 프로그램을 활용한 다문화 감수성 향상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한국어 전공자의 초급단계 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논리성 고찰
-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오류에 대한 연구
- 다문화 가족의 트라우마 현상에 관한 연구
- SNS를 활용한 교양 한국어 수업 연구
- <한국어기초사전>에서의 차별 표현 분석
- 국내 한국어 교육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 연구 경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