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오류에 대한 연구
이용수 84
- 영문명
- A Study on the Erros in the Use of Korean postpositions by Vietnamese learners
- 발행기관
- 한국어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손춘섭(Chunseop Son)
- 간행물 정보
- 『한국어 교육 연구』제23호, 109~13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어 조사는 어미와 함께 외국인 학습자들이 완전히 학습하여 구사하는 데 어려움이 많은 언어 단위이다. 이것은 한국어에서 조사와 어미가 주요한 문법 형식이기 때문이다. 현행 한국어 학교 문법에서는 조사는 단어의 범주로 다루지만 어미는 그렇게 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많은 문법 학자들은 조사를 어미와 유사한 성격의 문법 형식으로 보는 데 크게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학습 기간이나 토픽 등급에 따라서 어느 정도로 조사 사용의 오류를 범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이것은 한국어의 조사가 어미와 함께 문법 형식으로서의 성격이 강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이 올바로 사용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에서 출발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습 기간과 조사 오류 수 간 일원 배치 분산 분석의 결과 유의미한 값이 도출되었다. 하지만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습 기간과 조사 오류 수 사이에 ‘낮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 때문에 둘이 뚜렷이 관련된다는 확신을 갖기는 어려웠다.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토픽 등급별 조사 오류 수에 대한 일원 배치 분산 분석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다만, 베트남인 학습자들의 토픽 등급과 한국어 조사 오류 수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둘이 ‘낮은 부적 상관관계’에 있음을 확인했다. 이것은 토픽 등급이 높을 수록 조사 오류가 줄어든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하지만 이 결과의 유의성 또한 확신하기는 어려웠다. 이러한 두 가지 결과는 본고의 자기소개서 내용 분석에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학습 기간이나 토픽 등급에 따라서 조사 사용 오류에 현저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반증한다.
영문 초록
Korean postpositions, along with endings, are linguistic units that foreign learners have difficulty learning and using completely. This is because postpositions and endings are the main grammatical forms in Korean. Current Korean school grammar treats postpositions as a category of words, but not endings. However, many grammarians do not raise major objections to viewing postpositions as grammatical form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o endigs. For this reason, postpositions have many difficulties for Korean learners to use correctl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extent to which Vietnamese learners make errors in the Use of Korean postpositions according to their learning period or TOPIK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based on the premise that Korean postpositions, along with endings, have strong characteristics as grammatical forms, making it difficult for Korean learners to use them correctly.
The results of the one-way ANOVA between the learning period and the number of postposition errors of Vietnamese Korean learners in this study yielded significant value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low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arning period and the number of postposition errors of the Vietnamese Korean learners. Because of this, it was difficult to be certain that the two were clearly related. The one-way ANOVA on the number of postposition errors by TOPIK level of Vietnamese Korean learners did not produce significant results. However,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ietnamese learners’ TOPIK level and the number of Korean postposition errors confirmed that the two had a ‘low negative correlation.’ This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TOPIK level, the fewer postposition errors there are. However, the significance of this result was also difficult to confirm. These two results refute the fact that Vietnamese Korean learne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position usage errors depending on the period of study or TOPIK level in the analysis of self-introduction content in this paper.
목차
1. 연구 목적
2. 연구 대상 및 방법
3. 조사 오류 분석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교육연구 제23호 목차
- 중국 한국어학과 학생들이 직면한 문제점과 대책에 관한 연구 - 치치하얼대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어 교재에서의 ‘만큼’, ‘대로’, ‘뿐’ 제시 현황과 개선 방안
- 한국 코미디 프로그램을 활용한 다문화 감수성 향상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한국어 전공자의 초급단계 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논리성 고찰
-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오류에 대한 연구
- 다문화 가족의 트라우마 현상에 관한 연구
- SNS를 활용한 교양 한국어 수업 연구
- <한국어기초사전>에서의 차별 표현 분석
- 국내 한국어 교육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 연구 경향 분석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